대한항공, 아시아나 인수추진…“통합 국적항공사 출범”
SBS Biz 윤지혜
입력2020.11.17 09:55
수정2020.11.17 09:55
[앵커]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본격적으로 추진됩니다.
1위 항공사가 2위 항공사를 인수하는 셈입니다.
이게 성사되면 글로벌 10위권 항공사로 거듭나게 되는데, 독과점 문제와 동반부실 우려 등 풀어야 숙제도 적지 않습니다.
합병과 정부 지원 방식을 윤지혜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정부가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 회의를 열어,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방안을 본격화했습니다.
[김상도 / 국토부 항공정책실장 :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통합이 우리 항공운수산업의 내실을 다지고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항공산업의 재도약의 계기가 되도록 적극적으로 관리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대한항공 측에 지원하는 돈은 8천억 원.
산업은행이 대한항공 모회사인 한진칼에 5천억 원을 투입하고, 3천억 원 규모의 교환사채를 인수하는 방식입니다.
한진칼은 증자대금으로 금호산업이 보유한 아시아나항공 지분(30.77%)을 사들이고, 대한항공은 신주 인수와 유상증자 등 2조5천억원을 투입해 아시아나항공 지분 63.9% 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올라서게 됩니다.
국내 1,2위 항공사 보유자산 40조 원에 달하는 세계 10위권 항공사가 탄생하게 됩니다.
정부는 독과점 문제와 소비자 피해는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상도 / 국토부 항공정책실장 : 일부 우려가 제기되는 통합에 따른 고용불안정과 소비자 편익 저해 해소, 대한항공의 책임경영 및 윤리경영 강화를 위해서 채권단, 대한항공과 적극 협의해 나갈 계획입니다.]
정부는 진에어·에어부산·에어서울 등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산하의 저비용항공사 3사도 단계적으로 통합키로 해, 국내 저비용항공사 업계도 재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SBSCNBC 윤지혜입니다.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본격적으로 추진됩니다.
1위 항공사가 2위 항공사를 인수하는 셈입니다.
이게 성사되면 글로벌 10위권 항공사로 거듭나게 되는데, 독과점 문제와 동반부실 우려 등 풀어야 숙제도 적지 않습니다.
합병과 정부 지원 방식을 윤지혜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정부가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 회의를 열어,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방안을 본격화했습니다.
[김상도 / 국토부 항공정책실장 :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통합이 우리 항공운수산업의 내실을 다지고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항공산업의 재도약의 계기가 되도록 적극적으로 관리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대한항공 측에 지원하는 돈은 8천억 원.
산업은행이 대한항공 모회사인 한진칼에 5천억 원을 투입하고, 3천억 원 규모의 교환사채를 인수하는 방식입니다.
한진칼은 증자대금으로 금호산업이 보유한 아시아나항공 지분(30.77%)을 사들이고, 대한항공은 신주 인수와 유상증자 등 2조5천억원을 투입해 아시아나항공 지분 63.9% 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올라서게 됩니다.
국내 1,2위 항공사 보유자산 40조 원에 달하는 세계 10위권 항공사가 탄생하게 됩니다.
정부는 독과점 문제와 소비자 피해는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상도 / 국토부 항공정책실장 : 일부 우려가 제기되는 통합에 따른 고용불안정과 소비자 편익 저해 해소, 대한항공의 책임경영 및 윤리경영 강화를 위해서 채권단, 대한항공과 적극 협의해 나갈 계획입니다.]
정부는 진에어·에어부산·에어서울 등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산하의 저비용항공사 3사도 단계적으로 통합키로 해, 국내 저비용항공사 업계도 재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SBSCNBC 윤지혜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삼성 이재용 독일行…파운드리 챙기기 '미워도 다시 한번'
- 2.보면 무조건 사…편의점에서 사라진 '불닭'
- 3."'어르신 운전중' 표지 붙였더니, 어떤 변화가?
- 4.알면서도 놀라는 지역건보료…대출 받아 집 사면 확 준다
- 5.사별 후 재혼하자 유족연금 딱 끊겼다
- 6.묵혀둔 은수저 어디있지?…실버바도 품귀
- 7.[단독] 허울뿐인 삼성 신인사제도…절대평가 대신 하위고과자 할당
- 8.함평 비트코인 황금박쥐…세금낭비에서 261억 돈벼락
- 9.유리기판 시장 치고 나가는 SK…뒤쫓는 삼성·LG
- 10.'일용직인데, 집에만'…건설현장 없으니 17만명 손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