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증시브리핑] 美증시, 급반등 하루만에 내리막길…다우 1.45% 하락

SBS Biz
입력2020.09.11 07:52
수정2020.09.11 07:52

■ 경제와이드 모닝벨 '증시 브리핑' - 정다인 / 전화 연결 : 김민수 펠리즈투자&리서치 대표

◇ 뉴욕증시




뉴욕증시 상승 출발했지만, 반등 하루 만에 다시 하락 전환했습니다.

최근 급등세에 따라 시장의 불안이 지속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오는데요.

새롭게 발표된 지난주 신규 실업보험청구자 수도 조금 실망스러웠습니다.

전문가들응 85만 명을 예상했다면 실제로는 88만 4천 명이 신규로 실업수당 신청했습니다.



경제가 올해 3,4분기 크게 성장해도 고용시장 회복에는 시간이 더 걸릴거란 평가입니다.

목요일장에서도 기술주에는 매도 주문이 몰렸습니다.

◇ 유럽증시

뉴욕증시 영향도 있었겠지만, 유럽 주요 증시는 '포스트-브렉시트' 관계를 놓고 영국과 유럽연합 간 갈등이 이어지면서 소폭 약세를 나타냈습니다.

영국이 공개한 '국내시장법'이 탈퇴협정과 상충되는 만큼 EU가 법적 대응에 나설 수도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겁니다.

한편 유럽중앙은행은 정책금리를 동결하고, 자산매입 프로그램 규모를 유지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시장에서 예상됐던 내용인 만큼 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습니다.

◇ 아시아증시

뉴욕증시 반등에 아시아 주요 지수도 함께 상승 출발했습니다.

다만 일본과 중화권 증시에 차이가 있었다면 장중 변동성인데요.

장중 크게 움직이던 중화권 증시가 결국엔 하락 마감했습니다.  

아무래도 미중이 서로를 향한 제재 조치를 하루가 멀다 하고 내놓다 보니 불안 요소로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

◇ 국내증시

국내증시는 올랐고, 양시장에서 외국인이 순매수 우위를 보였습니다.

어제의 특징주로는 카카오게임즈를 빼놓을 수 없죠.

카카오게임즈가 코스닥 시장 상장 첫날부터 시초가가 공모가 두 배에서 형성된 후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코스닥 시총 상위 순위도 변동이 있었습니다.

카카오게임즈가 셀트리온제약을 제치고 시총 5위 올라섰고요.

에이치엘비와는 시총이 1조원 가량, 셀트리온제약과는 천억원 가량이 차이납니다.

카카오는 6거래일 만에 반등하면서 종가 38만 5천5백원에 형성했고요.

게임엔터테인먼트 업종은 전일대비 1.75% 올랐습니다.

종목별로는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 국제유가

국제유가, 다시 하락셉니다.

◇ 원·달러 환율

원·달러 환율은 투자심리가 회복되면서 달러당 1184원 90전으로 내려왔습니다. 

Q. 카카오게임즈의 상장 첫날이 성공적이었습니다. 코스닥 시가총액 5위에도 올랐는데, 사실 잘 사는 것만큼 잘 파는 것도 중요하잖아요. 청약을 통해 카카오게임즈를 보유하신 분들이라면 어느 정도 선에서 매도 전략을 짜봐야 하고, 신규 진입을 노리시는 분들이라면 얼마에 매수 기회를 노려야까요?

- 카카오게임즈, 공모가 두 배 이어 상한가 직행
- 넷마블·텐센트, 카카오 다음가는 최대주주
- 셀트리온제약 제치고 단숨에 코스닥 시총 5위
- 첫날 ‘따상’에 수천억원대 평가차익 얻어
- 카카오게임즈 주가, 언제까지 오를까?
- 증권가, 적정 주가 3만원 중반~4만원 제시
- 상장 하루만에 적정 가격 넘어서…앞으로는?
- 카카오게임즈 성장성에 대해서는 이견 없어

Q. 보통 테슬라가 오르냐 내리냐에 따라 국내 2차전지나 전기차 관련주도 방향을 잡곤 합니다. 그런데 어제 새벽 수소 트럭 스타트업 니콜라가 15% 넘게 폭락했는데도 불구하고 국내증시에서는 수소차 테마주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전일대비 4% 넘게 올랐는데요. 단순히 한국판 뉴딜 테마주로 묶여있기 때문인가요? 테슬라랑 니콜라랑 주가 흐름이 반대로 가는 경우가 종종 있던데, 경쟁업체라고 여겨져서 그런가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 수소 트럭업체 니콜라 폭락에도 수소차 관련주 강세
- 니콜라, 매출 없어도 든든한 지원 GM 덕에 신뢰 얻어
- 니콜라 15% 폭락에도 수소차 테마주 전일대비 +4%
- "니콜라-GM제휴, 한국 수소차 부품업체에 수혜"
- 중 베이징 "2025년까지 수소차 1만대 보급 예정"
- 테슬라·니콜라 주가 흐름 반대 경우 多…이유는?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다른기사
[이슈앤 직설] 文 ‘부동산 악재’ 털고 ‘코로나 극복’ 올인
[송재경의 인사이트] ‘코로나 버블’ 척후병 비트코인 급락…다음은 테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