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직격탄·산업 재편 가속…포스트코로나 일자리 전략은
SBS Biz 권세욱
입력2020.07.01 07:49
수정2020.07.01 07:54

[앵커]
반년 가까이 코로나19가 지속하면서 산업 재편 속도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어제(30일) SBSCNBC가 주최한 일자리 포럼에서도 이 같은 산업 구조 변동에 따른 일자리 전략들이 심도 있게 논의됐는데요.
권세욱 기자가 주요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기자]
지난달 제조업 종사자는 역대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수출 급감으로 자동차를 비롯한 기간산업이 직격탄을 맞은 데 따른 것입니다.
여기에 미·중 갈등의 심화로 글로벌 가치사슬, GVC도 급속히 재편되면서 산업 지형도 구조적 변화가 시작됐습니다.
[정은미 / 산업연구원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장 : 가장 중요한 것은 방향성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에 대한 대응조차도 미래 준비를 전제로 한 현재의 준비가 돼야 하고, 우리가 안 한다고 GVC가 안 변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
산업계에서는 변화에 대응하고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규제 완화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추광호 /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정책실장 : 비대면 산업 관련해서 규제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업계에 계신 분들이 이야기를 하고 있는 규제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 그걸 풀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고민이 필요….]
정부는 산업 경쟁력과 함께 사회안전망 강화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김영중 /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정책관 : 고용보험 사각지대에 있는 여러 사람을 고용보험 틀 속으로 끌고 들어와야겠다. 올 하반기에는 (소득 파악 작업을) 같이 진행을 하면서 자영업 부문까지 포괄하는….]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전략으로 단기적 대응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제도적인 접근 필요성도 제기됩니다.
[박지순 /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전근대적인 노동법 제도의 구조를 현대화 시켜 나가보자. 근로시간과 근로 장소의 종속되는 노동자가 아니라 자유롭게 일하는 창의적으로 일하는 근로자들을 위한 노동법이 무엇인지….]
코로나19로 산업 구조의 급속한 변동 속에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입체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SBSCNBC 권세욱입니다.
반년 가까이 코로나19가 지속하면서 산업 재편 속도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어제(30일) SBSCNBC가 주최한 일자리 포럼에서도 이 같은 산업 구조 변동에 따른 일자리 전략들이 심도 있게 논의됐는데요.
권세욱 기자가 주요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기자]
지난달 제조업 종사자는 역대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수출 급감으로 자동차를 비롯한 기간산업이 직격탄을 맞은 데 따른 것입니다.
여기에 미·중 갈등의 심화로 글로벌 가치사슬, GVC도 급속히 재편되면서 산업 지형도 구조적 변화가 시작됐습니다.
[정은미 / 산업연구원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장 : 가장 중요한 것은 방향성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에 대한 대응조차도 미래 준비를 전제로 한 현재의 준비가 돼야 하고, 우리가 안 한다고 GVC가 안 변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
산업계에서는 변화에 대응하고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규제 완화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추광호 /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정책실장 : 비대면 산업 관련해서 규제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업계에 계신 분들이 이야기를 하고 있는 규제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 그걸 풀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고민이 필요….]
정부는 산업 경쟁력과 함께 사회안전망 강화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김영중 /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정책관 : 고용보험 사각지대에 있는 여러 사람을 고용보험 틀 속으로 끌고 들어와야겠다. 올 하반기에는 (소득 파악 작업을) 같이 진행을 하면서 자영업 부문까지 포괄하는….]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전략으로 단기적 대응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제도적인 접근 필요성도 제기됩니다.
[박지순 /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전근대적인 노동법 제도의 구조를 현대화 시켜 나가보자. 근로시간과 근로 장소의 종속되는 노동자가 아니라 자유롭게 일하는 창의적으로 일하는 근로자들을 위한 노동법이 무엇인지….]
코로나19로 산업 구조의 급속한 변동 속에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입체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SBSCNBC 권세욱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러니 해외 가지'…강원 펜션 1박에 140만원 바가지
- 2.연 48만원 더 받는다는데…몰라서 못 타먹는 '가족연금'
- 3.국민연금 많이 받는다 좋아했는데…건보료 날벼락?
- 4.'신의 커피'라더니 '1㎏에 4천200만원'…무슨 커피지?
- 5.현금 12억 없으면 '그림의 떡'…"현금부자만 신났다"
- 6.'일 안하면 생활이 안되는데'…일하는 어르신 1000만명 시대
- 7.쥐꼬리 국민연금 한숨...'이거' 일찍 가입하면 1500만원 더 번다?
- 8.연봉이 아니라 월급이 4800만원?…SK하이닉스 월급 깜짝
- 9.[단독] 교통범칙금 30년 만에 인상?…도로공사 연구용역 착수
- 10."이럴 거면 예약 안 했죠"...제주 렌터카 뒷통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