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기업 오늘 사람] 페이스북·요기요·조선선재·롯데물산
SBS Biz 정인아
입력2020.06.03 08:57
수정2020.06.03 11:16
■ 경제와이드 모닝벨 '오늘 기업 오늘 사람' -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
◇ 비겁한 회장님 '저커버그 페이스북'
- '흑인 사망사건'으로 촉발된 폭력시위 사태 확산
- 트럼프 "폭동 저지 위해 군 동원"…초강경 대응
- 트럼프 '막말' 방치했다가…역풍 맞는 저커버그
- 페북, "약탈 시작되면 발포" 트럼프 글 방치
- 토크스페이스 제휴 협상 깨고 직원들은 가상 파업
- 저커버그 "구체적 위험 없다면 표현의 자유 중요"
- NYT "창사이래 저커버그 지도력 가장 큰 도전"
- 페북 2일 전직원 회의…저커버그, 수습 가능할까
- 흑인 폭동에 다시 커지는 SNS 표현의 자유 논란
- 저커버그, 트럼프 눈치보나…트위터와 '다른 노선'
- 트위터는 '트럼프 막말' 규제하는데 페이스북 방치
- 트위터-페북, 정치인 '표현의 자유' 놓고 이견
- 트럼프, SNS규제…'면책권 박탈' 행정명령 서명
- 트럼프 VS 트위터 전면전…장기전으로 확산되나
- 조지 소로스 "트럼프-저커버그는 암묵적 협력관계"
- 페북, 2016년 대선때 트럼프 캠프에 직원 파견
◇ 배달의 갑질 '강신봉 요기요'
- 요기요 '최저가 강요' 갑질에 4.7억 원 과징금
- 공정위 "거래상 지위 남용…판매가격 결정권 제한"
- 해명 나선 요기요 "2016년 최저가보상제 중단"
- '배민-요기요' 갑질 논란, 합병 승인 변수될까
- 공정위,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 감시·규제마련 집중
- 합병 반대 여론 86% 압도적…비판에 공정위 부담
- 요기요, 獨딜리버리히어로가 2011년 국내에 설립
- 딜리버리히어로, 세계 최대 음식주문 네트워크 보유
- 강신봉 대표 합류 2년만에 요기요 매출 2배이상↑
- 강신봉 대표, 연세대 경영대-듀크대 MBA 출신
- 배달의민족 인수로 한국 장악…독일 DH 주가 강세
- DH, 배달 서비스 업체 인수·합병 방식으로 성장
- 2011년 한국에 자회사 요기요 설립…배달통 인수
◇ LNG 최대 수혜주 '장원영 조선선재'
- 카타르 LNG선 100척 싹쓸이…조선업 다시뜬다?
- 현대重·대우조선·삼성重, 카타르페트롤리엄과 협약
- KB증권 "카타르 LNG선 발주, 주가 영향 제한적"
- 카타르, 2027년 LNG생산 1.2억톤까지 확대
- 조선선재, 2년만에 10만원 돌파…조선업 부활?
- 용접재료 생산 전문 조선선재, 1949년 설립
- 창업주 장경호, 해방 이후 동국제강·동국건설 설립
- 장원영, 동국제강그룹 4세…창업주 장경호의 증손자
- 2010년 지주사 전환…CS홀딩스ㆍ조선선재로 분할
- 장원영 취임 8년 만에 매출 세 배 이상 성장
- LNG선 기술력 한계도…"화물창 기술 자립 절실"
- LNG 저장탱크, 화물창 기술 프랑스 GTT 독점
- GTT에 연간 최대 5000억원 기술 로열티 지불
- 2014년 공동R&D로 개발했으나 결함 발생
- 한국형 LNG 화물창 후속 개발, 코로나로 지연
◇ 123층 마천루의 저주? '김현수 롯데물산'
- '롯데 심장' 월드타워 운영사 경영난…코로나 여파
- 롯데물산·롯데자산개발 등 롯데월드타워 운영 담당
- 롯데자산개발 완전 자본잠식…롯데물산은 마케팅 중단
- 임대수익 급감·온라인 대세로 쇼핑몰 침체 장기화
- 김현수 롯데물산 대표이사, 마케팅 비용 대거 삭감
- 김현수 대표, 롯데손해보험 前대표 출신 '재무통'
- 신동주·신영자, 롯데물산 상속 지분 전량 매도
- 日롯데홀딩스·호텔롯데·L투자·신동빈 지분율↑
- 롯데물산 "주주가치 제고 위해 유상감자 실시"
- "오너일가 재원 마련에 유상감자 동원" 해석도
- '형제갈등' 상황에서 신동주-신동빈 지분매각 협의
- 명동·잠실 땅값 급등…롯데, 앉아서 25조 벌었다
- 롯데그룹, 토지 자산 재평가 통해 부채 비율 낮춰
- "늘어난 자산, 총수 일가와 일본 롯데 계열사로"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비겁한 회장님 '저커버그 페이스북'
- '흑인 사망사건'으로 촉발된 폭력시위 사태 확산
- 트럼프 "폭동 저지 위해 군 동원"…초강경 대응
- 트럼프 '막말' 방치했다가…역풍 맞는 저커버그
- 페북, "약탈 시작되면 발포" 트럼프 글 방치
- 토크스페이스 제휴 협상 깨고 직원들은 가상 파업
- 저커버그 "구체적 위험 없다면 표현의 자유 중요"
- NYT "창사이래 저커버그 지도력 가장 큰 도전"
- 페북 2일 전직원 회의…저커버그, 수습 가능할까
- 흑인 폭동에 다시 커지는 SNS 표현의 자유 논란
- 저커버그, 트럼프 눈치보나…트위터와 '다른 노선'
- 트위터는 '트럼프 막말' 규제하는데 페이스북 방치
- 트위터-페북, 정치인 '표현의 자유' 놓고 이견
- 트럼프, SNS규제…'면책권 박탈' 행정명령 서명
- 트럼프 VS 트위터 전면전…장기전으로 확산되나
- 조지 소로스 "트럼프-저커버그는 암묵적 협력관계"
- 페북, 2016년 대선때 트럼프 캠프에 직원 파견
◇ 배달의 갑질 '강신봉 요기요'
- 요기요 '최저가 강요' 갑질에 4.7억 원 과징금
- 공정위 "거래상 지위 남용…판매가격 결정권 제한"
- 해명 나선 요기요 "2016년 최저가보상제 중단"
- '배민-요기요' 갑질 논란, 합병 승인 변수될까
- 공정위,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 감시·규제마련 집중
- 합병 반대 여론 86% 압도적…비판에 공정위 부담
- 요기요, 獨딜리버리히어로가 2011년 국내에 설립
- 딜리버리히어로, 세계 최대 음식주문 네트워크 보유
- 강신봉 대표 합류 2년만에 요기요 매출 2배이상↑
- 강신봉 대표, 연세대 경영대-듀크대 MBA 출신
- 배달의민족 인수로 한국 장악…독일 DH 주가 강세
- DH, 배달 서비스 업체 인수·합병 방식으로 성장
- 2011년 한국에 자회사 요기요 설립…배달통 인수
◇ LNG 최대 수혜주 '장원영 조선선재'
- 카타르 LNG선 100척 싹쓸이…조선업 다시뜬다?
- 현대重·대우조선·삼성重, 카타르페트롤리엄과 협약
- KB증권 "카타르 LNG선 발주, 주가 영향 제한적"
- 카타르, 2027년 LNG생산 1.2억톤까지 확대
- 조선선재, 2년만에 10만원 돌파…조선업 부활?
- 용접재료 생산 전문 조선선재, 1949년 설립
- 창업주 장경호, 해방 이후 동국제강·동국건설 설립
- 장원영, 동국제강그룹 4세…창업주 장경호의 증손자
- 2010년 지주사 전환…CS홀딩스ㆍ조선선재로 분할
- 장원영 취임 8년 만에 매출 세 배 이상 성장
- LNG선 기술력 한계도…"화물창 기술 자립 절실"
- LNG 저장탱크, 화물창 기술 프랑스 GTT 독점
- GTT에 연간 최대 5000억원 기술 로열티 지불
- 2014년 공동R&D로 개발했으나 결함 발생
- 한국형 LNG 화물창 후속 개발, 코로나로 지연
◇ 123층 마천루의 저주? '김현수 롯데물산'
- '롯데 심장' 월드타워 운영사 경영난…코로나 여파
- 롯데물산·롯데자산개발 등 롯데월드타워 운영 담당
- 롯데자산개발 완전 자본잠식…롯데물산은 마케팅 중단
- 임대수익 급감·온라인 대세로 쇼핑몰 침체 장기화
- 김현수 롯데물산 대표이사, 마케팅 비용 대거 삭감
- 김현수 대표, 롯데손해보험 前대표 출신 '재무통'
- 신동주·신영자, 롯데물산 상속 지분 전량 매도
- 日롯데홀딩스·호텔롯데·L투자·신동빈 지분율↑
- 롯데물산 "주주가치 제고 위해 유상감자 실시"
- "오너일가 재원 마련에 유상감자 동원" 해석도
- '형제갈등' 상황에서 신동주-신동빈 지분매각 협의
- 명동·잠실 땅값 급등…롯데, 앉아서 25조 벌었다
- 롯데그룹, 토지 자산 재평가 통해 부채 비율 낮춰
- "늘어난 자산, 총수 일가와 일본 롯데 계열사로"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내 계좌가 보이스피싱에?..."사전 차단 하세요" [2025 금감원]
- 2.추석 땐 최장 10일 쉰다?…비행기표 끊으려다 '화들짝'
- 3.'17억 갑자기 생겼다'…50% 성과급에 로또까지 누구일까?
- 4.'국민연금 30% 깎여도 어쩔 수 없다'…조기수급자 100만명 시대
- 5.전기차 이러다 방전될라...차값 깎아주다 결국은
- 6."너를 위해 에버랜드 전세냈어"...8천 쌍 중 한 쌍 누구?
- 7.성과급 1500% 전국민 부러워한 이 회사, 자사주 30주 더 준다
- 8.당첨되면 최소 3억 번다…세종에 57만명 몰렸다
- 9.中 전기차, 한국 입성 일주일 만에 1천 대 계약 돌파…직접 타보니
- 10.설연휴 433만명 비행기 이용…최다 왕래는 이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