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자 생활비 월 252만원…연금 노후대비 ‘어불성설’
SBS Biz 권준수
입력2020.05.26 07:50
수정2020.05.26 09:26

[앵커]
은퇴한 뒤 소득이 줄게 되면 한 달에 얼마쯤 생활비로 쓰면서 살게 될까요?
한 금융기관 조사 결과, 은퇴자 부부 한 쌍의 생활비는 월평균 250만 원가량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제는 국민연금이나 퇴직연금으로 이 생활비를 충당하기가 쉽지 않다는 겁니다.
은퇴자들의 생활 상황을 권준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국내 대기업을 다니다 퇴직한 윤태석 씨.
퇴직금으로 독서실을 운영하고 있지만, 생활비는 크게 줄지 않았습니다.
[윤태석 /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동 : 퇴직을 했다고 크게 (소비가) 준 부분은 없더라고요. (그렇다 보니) 애로사항이 있더라고요. 건강보험료나 국민연금 부담금 아니면 아파트 관리비, 공과금 성격의 지출이 전혀 줄지 않는 데다가….]
하나금융그룹이 노후를 앞둔 50대 이상 중고령자의 노후준비 실태를 조사한 결과, 부부 한 쌍의 생활비는 월 252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아프기라도 하면 병원비 등 생활비용이 더 늘어날 수밖에 없는데, 퇴직자들 역시 이런 점이 가장 걱정된다고 답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최근 퇴직 시기가 앞당겨지면서, 국민연금을 받을 시기까지 소득 절벽 기간에 직면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김상봉 /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 우리나라 (직장인) 퇴직하는 나이가 평균 한 52세 정도 됩니다. 국민연금 같은 경우에는 일정한 나이가 돼야 받을 수 있는 부분이라서 그걸 바로 받을 순 없어요. 자산도 없고 사적 연금도 없고 이런 사람들은 바로 나락으로 떨어지는 거죠.]
공적 연금인 국민연금도 생활비를 충당하기엔 턱없이 부족합니다.
20년 이상 국민연금에 가입한 수급자가 받을 수 있는 연금은 월 100만 원이 채 안 되는 상황, 퇴직연금도 코로나19 여파로 수익률이 연 1%를 간신히 유지하는 상황이어서, 둘을 합쳐서도 월 200만 원을 만들기 벅차다는 게 중론입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퇴직연금을 깨고, 좀 더 수익률이 높은 집이나 부동산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SBSCNBC 권준수입니다.
은퇴한 뒤 소득이 줄게 되면 한 달에 얼마쯤 생활비로 쓰면서 살게 될까요?
한 금융기관 조사 결과, 은퇴자 부부 한 쌍의 생활비는 월평균 250만 원가량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제는 국민연금이나 퇴직연금으로 이 생활비를 충당하기가 쉽지 않다는 겁니다.
은퇴자들의 생활 상황을 권준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국내 대기업을 다니다 퇴직한 윤태석 씨.
퇴직금으로 독서실을 운영하고 있지만, 생활비는 크게 줄지 않았습니다.
[윤태석 /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동 : 퇴직을 했다고 크게 (소비가) 준 부분은 없더라고요. (그렇다 보니) 애로사항이 있더라고요. 건강보험료나 국민연금 부담금 아니면 아파트 관리비, 공과금 성격의 지출이 전혀 줄지 않는 데다가….]
하나금융그룹이 노후를 앞둔 50대 이상 중고령자의 노후준비 실태를 조사한 결과, 부부 한 쌍의 생활비는 월 252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아프기라도 하면 병원비 등 생활비용이 더 늘어날 수밖에 없는데, 퇴직자들 역시 이런 점이 가장 걱정된다고 답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최근 퇴직 시기가 앞당겨지면서, 국민연금을 받을 시기까지 소득 절벽 기간에 직면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김상봉 /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 우리나라 (직장인) 퇴직하는 나이가 평균 한 52세 정도 됩니다. 국민연금 같은 경우에는 일정한 나이가 돼야 받을 수 있는 부분이라서 그걸 바로 받을 순 없어요. 자산도 없고 사적 연금도 없고 이런 사람들은 바로 나락으로 떨어지는 거죠.]
공적 연금인 국민연금도 생활비를 충당하기엔 턱없이 부족합니다.
20년 이상 국민연금에 가입한 수급자가 받을 수 있는 연금은 월 100만 원이 채 안 되는 상황, 퇴직연금도 코로나19 여파로 수익률이 연 1%를 간신히 유지하는 상황이어서, 둘을 합쳐서도 월 200만 원을 만들기 벅차다는 게 중론입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퇴직연금을 깨고, 좀 더 수익률이 높은 집이나 부동산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SBSCNBC 권준수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월급 많이줘도 싫어요" 짐싸는 지방 청년들…어디로 갔나?
- 2."위약금, SKT 사운 걸려"…"영업정지 최대 3개월 가능"
- 3.늙어가는 대한민국…국민연금 수령은 68세부터?
- 4."교체와 똑같습니다"…SKT 유심재설정, 이것부터 챙기세요
- 5.[단독] 이재명 '상생기금 시즌3' 구상…정부·은행 조 단위 [대선2025]
- 6.SKT에 '위약금 면제·인당 30만원 배상' 요구 집단분쟁조정 신청
- 7.'손해봐도 일찍 받겠다'…100만원 국민연금 70만원만 탈래요
- 8."이자 낼 돈이 없어요"…아파트 덜컥 사놓더니
- 9.내 금융 소득 이렇게 많다고?…우투, 국세청 무슨 일?
- 10.이참에 끊을까?…저녁에 소맥 한잔도 부담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