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의료계 “인 코로나 시대, 2차 대유행 대비…상설 감염병 진료체계 필요”

SBS Biz 신윤철
입력2020.05.06 16:30
수정2020.05.06 16:31

한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아직 끝나지 않아 주의가 필요하며 중환자 진료체계와 자원확보가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나왔습니다.

대한병원협회가 오늘(6일) 개최한 ‘2020 KHC 코로나19 특별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감염병 시대의 뉴노멀: 포스트 코로나,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주제에 연사로 나선 의료계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유행이 끝나지 않았고 올해 2차 대유행을 대비해야 한다고 진단했습니다.

<사진출처 : 2020 KHC 코로나19 특별 온라인 컨퍼런스 캡쳐>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금은 포스트 코로나(Post corona)가 아니고 인 코로나(In corona) 상황"이라며 "전 세계에서 올가을과 겨울에 대유행이 다시 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으므로 우리도 ‘비상대응계획’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교수는 "스페인 독감 때 연구를 보면 1차 유행 때 사망률이 5%였다가 2차 유행 때 60%였다"며 비상대응계획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특히 항체 여부를 확인하는 혈청검사를 통해 정확한 감염 규모를 파악하는 게 급선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증상이나 해외여행 이력 등이 없어 진단검사조차 받지 않은 숨겨진 감염자를 찾아내기 위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실시간 유전자 증폭(RT-PCR) 방식으로는 지역사회에 숨겨진 감염자를 찾는 데 한계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김 교수는 "혈청검사로 실제 감염자 규모를 파악해야 한다"며 "그래야만 나중에 재유행했을 때의 대응 전략을 세울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출처 : 2020 KHC 코로나19 특별 온라인 컨퍼런스 캡쳐>

이어진 강의에서 이왕준 명지병원 이사장은 "단기적으로 코로나19의 2차 대유행을 준비하는 걸 넘어 상설 감염병 진료 체계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며 "병원의 모든 구조와 프로세스를 감염병 존(Zone)과 비감염병 존으로 구분한 듀얼 트랙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세부내용으로 외래는 열성 호흡기 외래센터를 출입구 등을 완전 분리 독립해서 운영해야 하며, 중환자실은 감염병 존(zone)을 따로 운영하고 음압격리병상 운영 및 인력, 장비의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밖에도 수술실 및 혈관조영실도 듀얼 트랙 운영과, 보호자, 간병인 관리 시스템 재편, 상설적인 감염병 대응시스템 운영 및 훈련을 제시했습니다.

특히 이 이사장은 “무엇보다 중환자 관리의 획기적 전환이 필요하다”며 “포스트 코로나 대응에 있어서 중환자 관리에 대한 물적, 인적인프라 운영 지원 시스템 전환 및 업그레이드 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국내에서도 원격의료의 도입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경희사이버대학교 정지훈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원격의료의 장점이 단점을 극복하고 있으며, 일반 국민들은 이미 원격의료를 수용할 준비가 돼 있다"며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사용할 의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 교수는 "2019년 대비 2020년 일반 시민들의 텔레메디는(원격의료)에 대한 우호적 평가는 2배 이상 높아졌다"며 "환자들은 코로나19 펜데믹 상황에서 병원과 사무실 등 집단 감염이 우려되는 곳에 대해 높은 비대면 편리성으로 인한 수용성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각국 정부는 디지털헬스에 대해 보수적으로 접근하면서 편익보다 부작용을 우려해 제도 도입을 꺼려했지만 임시로 허가된 이후 결과가 좋다면 제도화 단계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며 "보험자 입장에서도 텔레메디슨에 대한 제도 도입에 따른 분석결과가 현행 지불제도보다 비용효과적으로 나올 경우 텔레메디슨의 확대 도입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공급자 입장에서도 원격의료가 효과적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놨습니다. 그는 "의료기관의 입장에서는 원격의료가 환자를 더 효과적으로 많이 볼 수 있다"며 "특히, 의원급의 경우 그 장점은 더 커질 수 있다. 의원과 병원 경영적 측면에서 같은 비용과 수가라면 비용이 감소해 효과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정 교수는 장기적으로 원격의료 도입은 낙관적으로 전망된다며, 현재의 의료법은 시대에 뒤떨어져 있어 재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신윤철다른기사
롯데 신동빈 회장, 작년 연봉 최소 150억…은행장 최고는 ‘KB’ 허인
SBS Biz-소상공인방송정보원, 제작·편성 업무협약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