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탈원전’과 ‘원전수출’ 공존 가능할까…업계 전망은?

SBS Biz 안지혜
입력2019.06.24 19:52
수정2019.06.24 20:56

[앵커]

이처럼 기대됐던 원전 정비사업이 반쪽 수주에 그치면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물음이 있습니다.

탈원전과 원전수출은 과연 공존이 가능할까하는 건데요.

안지혜 기자와 좀더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안 기자, 이번 정비계약, 당초 예상보다 못 미친다는 평가가 나오죠?

[기자]

맞습니다.

단독수주 시 최대 15년간 3조원 규모의 계약을 맺을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가 있었는데, 일단 5년 계약에 그쳤습니다.

산업부는 계약이 앞으로 최대 30년까지 연장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지금 단계에서 연장을 말하기는 이르고요.

또 당초 예상과 달리 전체 사업의 주도권을 우리가 아니라 바라카 원전 운영사인 '나와'가 잡는 형태가 됐기 때문에, 이번 수주의 의미가 축소됐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정부 탈원전에 대한 비판도 거세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기자]

맞습니다.

원전업계는 그동안 우리나라가 입증한 원전 기술력만 본다면, 계약을 쪼개서 조건부로 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결국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악영향을 미쳤다는 것입니다.

[앵커] 

하지만 또 거꾸로 보면 탈원전 정책에도 불구하고 절반의 수주에는 성공한 것으로 볼 수도 있지 않을까요?

[기자]

단기적으로 보면 가능해 보여도, 장기적인 전망이 밝지는 않습니다.

원전을 지으려면 환경영향 평가와 지반 검사부터 기계, 장비부품, 화학까지 유관 산업 분야가 많은데요.

국내에서는 더 이상 신규 원전 건립이 멈춘 상황에서 이 생태계가 얼마나 유지될 수 있을지 알 수 없어서입니다.

원자력 업계 전문가의 말 직접 들어보시죠.

[김명현 / 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교수 : 공급체인이 없는 상태에서 수출할 수가 있느냐, 지금은 수출이 떨어지면 있는 장비와 인력을 가지고 돌리겠죠. 근데 이게 한 5년만 지나가도 회사에서 일하지 않고 노는 사람 갖고 있을 수 없고 돌아가지 않는 기기 계속 갖고 있을 수 없고…]

결국 장기적으로는 탈원전으로 가더라도 국내 신규 원전 건립을 단계적으로 축소해서 최소한의 생태계는 유지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앵커]

안지혜 기자, 잘 들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안지혜다른기사
'해외직구 혼란' 정부에 날세운 與…"민생 정책 충분한 협의 필요"
20대 '빚 굴레'…첫 시작은 "생활비 없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