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eport] 새로운 남북경협 위한 전제조건…“비핵화·경제제재 해제 선결 과제”
SBS Biz 김영교
입력2018.07.18 15:01
수정2018.07.23 16:06
■ Korea Report
<김영교 / SBSCNBC 기자>
The two Koreas technically remain at war as the Korean War ended only with a cease-fire, not a peace treaty.
남한과 북한은 전쟁이 중단돼 있는 휴전 상태로 남아있고, 평화 협정은 체결하지 않아 사실 상 대치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In the wake of the conflict…the first time the top leaders of the two sides met was the 2000 summit between then South Korean President Kim Dae-jung and then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전쟁이 발발한 이후, 양측의 정상이 처음으로 만난 건 바로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당시 북한 국방위원장이 만났던 2000년 남북정상회담이었습니다.
The summit meeting was made possible because Kim Dae-jung was a liberal politician who pursued his trademark "Sunshine Policy" of engagement with the North. His election had ended decades of conservative rule in the South.
진보 진영 정치인이었던 김대중 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햇볕정책"이라는 포용 정책을 펼쳤기에 첫 정상회담이 성사됐습니다. 김대중 정부는 남한에서 수십년 간 이어졌던 보수 정권 이후 첫 정권 교체를 이뤄낸 정부였습니다.
The historic summit earned President Kim the Nobel Peace Prize later that year.
그리고 그 역사적인 정상회담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은 그 해 노벨평화상을 받게 됩니다.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continued even after Kim left office as his liberal successor, Roh Moo-hyun, inherited his engagement policy and pursued greater exchanges with their communist neighbor.
남한과 북한의 교류는 김대중 전 대통령 이후에도 이어졌습니다. 그의 후임이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은 포용 정책을 이어 받아, 북한과의 교류를 확대해 나갔습니다.
It was when Roh was in office th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began operations in 2005 after years of construction. The project combined cheap North Korean labor with South Korean capital and technology.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임기 중이었던 2005년, 개성공단이 몇 년 간의 공사 끝에 완성돼 가동됐습니다. 남한의 자본과 기술이 북한의 저렴한 인건비와 합쳐진 사업이었습니다.
It was touted as one of the most tangible fruits of the South's reconciliation policy.
남한의 대북 화해협력 정책 중 가장 실질적인 결과물을 낸 것 중 하나로 여겨진 사업이기도 했습니다.
Despite such rapprochement, security tensions persisted along the border, with the two sides fighting deadly naval skirmishes, and the North relentlessly pursuing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이러한 포용 정책에도, 군사적 긴장감은 이어졌습니다. 해상에서 충돌이 일어나 사상자가 나오기도 했고, 북한은 끈질기게 핵 미사일 개발을 이어왔습니다.
These tensions fueled criticism from conservatives that the North was using proceeds from economic exchanges with the South for weapons development.
이러한 긴장감이 이어지면서, 보수 진영에서는 북한이 남한과의 경제 교류에서 얻은 이익을 무기 개발에 이용한다고 비판했습니다.
It was near the end of Roh Moo-hyun’s five-year term in office that the two Koreas held their second summit in Pyongyang.
노무현 대통령의 5년 임기가 거의 끝나갈 무렵, 남한과 북한은 평양에서 두 번째 정상회담을 열었습니다.
He met with then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in October 2007…Traveling to the North by land and becoming the first South Korean leader to cross the border on foot.
2007년 10월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난 노무현 대통령은, 육로를 통해 북한으로 넘어갔고, 걸어서 남한에서 북한으로 넘어간 첫 대통령이었습니다.
South Korea's current President, Moon Jae in, was then Roh's chief of staff.
문재인 대통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이었습니다.
And he was in charge of overseeing preparations for the summit.
그리고 문 대통령은 당시 정상회담의 준비를 담당했습니다.
The summit deals, however, quickly fell apart as Roh's conservative successor, Lee Myung-bak, took office with a policy of getting tough on Pyongyang.
하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의 후임이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이 정권을 잡은 후 분위기는 바뀌었습니다.
That led to a near freeze in cross-border cooperation and exchanges…along with rapidly deteriorating relations between the two sides.
남북 경협과 교류는 얼어붙기 시작했고, 관계는 빠르게 악화됐습니다.
The frayed ties continued after Lee left office because he was replaced by another conservative leader, Park Geun-hye. It was when Park was in power th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as shut down in 2016 after more than a decade of operations.
날카로워진 남북 관계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청와대를 떠나고, 보수 진영에서 나온 또다른 대통령 박근혜 전 대통령이 들어온 이후에도 이어졌습니다. 십년이 넘도록 가동되던 개성공단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임기 중인 2016년에 가동이 중단됐습니다.
But Park was ousted from office before the end of her term after she was impeached for a massive corruption scandal involving a long-time friend.
박근혜 대통령은 오랜 친구였던 최순실씨와 국정농단 사건에 휘말리면서 탄핵을 당해 임기를 끝마치지 못했습니다.
Since taking charge in May of last year, President Moon Jae-in has consistently pursued a policy of dialogue with the North.
지난해 5월에 취임한 이후,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과의 대화 정책을 꾸준히 추구해 왔습니다.
The first progress came at the start of this year when North Korea’s leader agreed to send a delegation to the Winter Olympics in Pyeongchang, South Korea, leading to the resumption inter-Korean dialogue.
첫 성과는 연초에 나왔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창 동계올림픽에 북한 선수단을 보내기로 결정을 한 겁니다. 그리고 결국은 남북 간의 대화 재개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Welcome to Korea Report, where we deliver the latest on South Korea's business, culture, and society. I'm your host, Young-gyo Kim.
한국의 산업과 문화, 사회에 대해 다루는 코리아리포트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저는 김영교입니다.
And I'm standing on the Grand Unification Bridge, Which leads to the inter-Korean Kaesong Industrial Complex in North Korea, just south of the demilitarized zone that divides the peninsula.
저는 지금 개성공단으로 이어지는 통일대교 위에 서 있습니다.
In this edition of Korea Report, we'll take an in-depth look at how new economic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ould develop in the coming years.
이번 코리아리포트에서는 남한과 북한 간의 새로운 경제 협력에 대해 전망해 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On April 27, the world’s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Korean peninsula as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held their first summit.
4월 27일, 전세계의 시선은 한반도에 쏠렸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첫 정상회담을 열었기 때문입니다.
Kim made the historic border crossing into the truce village of Panmunjom…the first time a North Korean leader had stepped onto South Korean soil since at least the end of the 1950-53 Korean War.
김정은 위워장은 군사분계선을 넘어 판문점 남측으로 직접 걸어왔습니다. 1950년에서 1953년에 걸친 전쟁 이후, 북측 정상이 남한 땅을 밟은 건 처음이었습니다.
The Moon-Kim meeting was the first-ever inter-Korean summit to be held in South Korea…and the third ever meeting between leaders of the two nations.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간의 회담은 남한에서 열린 첫 정상회담이었고, 두 나라 정상의 세번째 만남이었습니다.
A record number of journalists from around the globe covered the event that Moon said could mark the start of the long-delayed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전세계에서 회담을 취재하기 온 기자 수는 기록적이었습니다. 문 대통령이 말했듯이 오랫동안 지연돼 온 북한의 비핵화의 시작이 될 수도 있는 회담이었습니다.
People watched live broadcasts on TV and online of the two leaders shaking hands at the joint security area of Panmunjom…inside the heavily fortified demilitarized zone dividing the two Koreas.
두 정상이 경비가 삼엄한 판문점의 공동경비구역 안에서 악수를 나누는 모습을 사람들은 TV와 인터넷을 통해 생중계로 시청했습니다.
Esteemed people of South and North Korea…I am taking a bold step with Chairman Kim Jong-un toward achieving – with our own strength – peace, common prosperity and our long cherished hope for reunification.
[문재인 대통령 : 존경하는 남북의 국민 여러분, 나는 김정은 위원장과 함께 남북 모두의 평화, 공동 번영, 민족 염원 통일을 우리 힘으로 이루기 위해 담대한 발걸음을 시작합니다.]
When the road that I traveled today becomes the road through which all people of North and South Korea can freely pass, and when Panmunjeom – where we stand today – turns from a symbol of heart-wrenching division to a symbol of peace, North and South Korea – which share one blood, one language, one history and one culture – will finally be one as we were before, and bask in the endless prosperity for thousands of generations to come.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 오늘 내가 다녀간 이 길로 북과 남의 모든 사람들이 자유롭게 오갈 수 있게 되고 우리가 지금 서 있는 가슴 아픈 분단의 상징인 판문점이 평화의 상징으로 된다면 하나의 핏줄, 하나의 언어, 하나의 역사, 하나의 문화를 가진 북과 남은 본래대로 하나가 되어 민족 만대 번영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It was a sudden turn of events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nearly reaching the brink of war a year ago.
불과 1년 전만 해도 긴장감이 맴돌던 한반도에선 상상도 할 수 없던 일이었습니다.
During the April summit, President Moon handed Kim a USB memory stick containing a "New Economic Plan for the Korean Peninsula."
11년만의 남북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자신의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설명한 책자와 프레젠테이션 영상을 담은 USB를 김정은 위원장에게 직접 전달했는데요.
The plan is a blueprint for how the two Koreas could work for economic cooperation, creating three “belts” — One along the east coast for energy and resources, another along the west coast for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nd a third across the land border for tourism.
한반도 신경제구상은 남북을 `동해권 에너지·자원 벨트` 와 `서해권 산업·물류·교통 벨트` , 그리고 접경지역인 `비무장지대(DMZ) 환경·관광벨트` 등 3개 벨트로 묶어 개발하고, 이를 북방경제와 연계해 남북이 동북아 경제협력의 허브로 도약한다는 내용입니다.
We will freshly connect South and the North – where they have been disconnected by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 with an economic belt and establish an economic community where the two Koreas can proper together.
[문재인 대통령 / 독일 쾨르버재단 연설 (지난해 7월 6일) : 군사분계선으로 단절된 남북을 경제벨트로 새롭게 잇고 남북이 함께 번영하는 경제공동체를 이룰 것입니다.]
The historic summit between U.S. President Donald Trump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has raised hopes for a new economic blueprint for the Korean Peninsula. But South Korean leaders are still cautious because sanctions will remain in place until denuclearization truly happens.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의 역사적인 정상회담은 새로운 한반도 경제 구상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Even after Trump and Kim held their summit in Singapore, the U.S. government has emphasized that sanctions on the North will not be lifted until the reclusive nation commits to getting rid of its nuclear weapons.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정상회담을 한 이후에도, 북한이 모든 핵무기를 제거한다는 약속을 하기 전까지 미국은 북한에 대한 경제 제재를 풀지 않겠다고 강조했습니다.
Rep. Song Young-gil of the ruling Democratic Party, heads South Korea's Presidential Committee on Northern Economic Cooperation.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송영길 국회의원은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의 위원장을 맡고 있습니다.
He told me he expects economic projects with North Korea will gain momentum if there are some meaningful "follow-up" steps after the Trump-Kim summit.
송 의원은 SBS CNBC와의 인터뷰에서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후속 조치가 의미 있게 이행될 경우, 북한과의 경제 협력이 힘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영교 / SBSCNBC 기자>
Representative Song, you have been leading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Northern Economic Cooperation. Tell us what it does.
의원님은 현재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장을 맡고 계신데요. 여기서 말하는 북방경제협력의 개념이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송영길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Following the collapse of the Eastern Bloc in the mid to late 1990s, the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two main opposing blocs of the Cold War swung decisively toward the Western Bloc. With the Cold War coming to an end, Nordpolitik or Northern Policy, the signature foreign policy of former South Korean president Roh Tae-woo, guided South Korean efforts to reach out to the traditional allies of North Korea, including the former Soviet Union and other communist Eastern Bloc countries. The so-called “New Northern Policy” unveiled by current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is aimed at easing political and military tensions through economic cooperation not just between the two Koreas, but also between China and Russia on one side and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other at this critical moment when the clouds of the New Cold War gather over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sanctions imposed on Russia by the US and the European Union following Russia’s annexation of Crimea; and US-China clashes over trade and South China sea.
그동안 사실 사회주의권과 우리 자유주의 자유시장권이 분리된게 1990년 중후반 동구권이 붕괴되면서 전체 시장경제를 통합이 되었잖아요 그때 그걸 북방 정책이라고 그랬습니다 노태우 정부 때 그런데 문재인 정부 때 신북방정책이 북핵문제로 남북이 긴장이 강화되고 그리고 클리니아 반도 합병 이후로 러시아에 대한 EU와 미국의 경제 제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미러간의 관계가 아주 안 좋아지고 있고 또 중국의 남중국해를 둘러싼 군사적 긴장 그리고 무역전쟁으로 미중관계도 안 좋아져서 신 냉전이 도래하려는 이 시기에 경제협력을 통해서 남북관계 중러와 미일간의 관계를 완화시켜 보자라는 정책이 신북방정책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김영교 / SBSCNBC 기자>
Hope for economic cooperation among two Koreas and neighboring countries are growing after the inter-Korean summit, followed by the U.S.-North Korea summit. How do you see the current situation?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북미정상회담까지 이어지면서, 북한을 포함한 북방경제협력이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요즘 분위기, 어떻게 보십니까.
<송영길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Just last year, war anxiety reached its peak o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ests. But President Moon’s diplomatic efforts have gone a long way toward bringing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inter-Korean dialogue resumed on the occasion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paving the way for the two historic summit meetings: the inter-Korean summit on April 27 and the US-North Korea summit on June 12. We have to make full use of this rare opportunity for peace and prosperity. But there are still many hurdles to be jumped before we can do just that. And I believe economic cooperation is key.
아시다시피 작년만 하더라도 바로 미사일이 날아올 거 같은 일촉즉발의 상황을 우리 문재인 대통령의 탁월한 외교역량은 작년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 간의 대화가 시작되었고 이것이 4·27판문점 회담으로 연결되고 결국 6·12 미북정상회담까지 만들어져서 지금의 기적 같은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불안한 면이 없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잘 지켜내고 이것이 현실화시켜내는 그런 과제가 저희 앞에 있습니다, 그것이 저는 바로 경제협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영교 / SBSCNBC 기자>
It seems like President Moon Jae-in's vision for an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ka the New Economic Plan for the Korean Peninsula, could come true. Please elaborate on this new economic plan.
남북 협력 아래 한반도를 하나로 묶어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그리겠다던 문재인 대통령의 청사진이 현실로 다가오는 듯 합니다. 이 '한반도 신경제구상'란 무엇입니까.
<송영길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left the two Koreas more isolated than an island country. If the breakthrough came at inter-Korean relations, North and South Korea would be able to combine each other’s strengths, creating tremendous upside potential for economic growth. A lot of South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have been moving their production to other countries like China, Vietnam, Laos, and Cambodia in search of cheap labor and industrial land. Compared to these countries, however, North Korea is much more competitive in terms of labor and land costs. 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for example, a typical worker earns less than $100 a month, and the land price is less than 2.5% of that of the Incheon Namdong Industrial Complex in South Korea. These strengths combined with South Korea’s technical excellence would create a major growth engine for a unified Korean Peninsula, that is sandwiched between Japan and China. Besides, North Korea is rich in mineral reserves and tourism resources. If these resources are tapped and the North’s crumbling infrastructure, such as road and train systems, is fixed and linked with South Korea, the economic territory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expand into Eurasia, creating a new engine for economic growth.
우리 대한민국이 한반도라는 땅에 살고 있는데 한 반도라는 말은 반은 섬이라는 뜻이잖아요 페니쉴라라는 말이 반은 대륙, 반은 해양으로 싸여있는 건데 실제로 분단되어서 섬보다 더 심각하게 차단 고립되어 있습니다. 남북관계가 뚫리게 되면 일단 북과 남의 그 장점이 결합되면 엄청난 경제력이 나올 수가 있습니다. 우리 대한민국 중소기업들이 공장 부지가 부족하고 노동력이 부족해서 중국이나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로 다 공장이 이전되고 있는데 북한은 훨씬 더 경쟁력 있는 노동력, 그 한달 급여가 약 100달러가 채 안되는 급여와 평당 한 17만 5천 원 개성공단이 우리 인천남동구단이 800만 원입니다 평당, 그런데 그런 싼 공장부지가 제공되어서 대한민국의 기술력이 결합된다면 중국과 일본 사이에 넛츠크레이커처럼 중간에 끼어있는 대한민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북에 엄청난 광물자원 관광자원 연결되고 또 북에 북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면 모든 비행기나 이런 배나 기차 이게 노선이 대륙 경제와 연결됨으로서 새로운 성장 동력이 생긴다고 볼 수 있습니다.
<김영교 / SBSCNBC 기자>
Operated jointly by Seoul and Pyongyang from 2004 to 2016, Kaesong was a symbol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hat do you expect the new form of the economic cooperation to be?
말씀하셨지만 우리가 남북경협이라고 한다면 우선 개성공단을 늘 먼저 떠 올렸잖아요. 앞으로 올 남북경협이라는 것은 개성공단과 같은 것이 확장된 형태가 될 것인지 또 다른 형태가 될 것인지 궁금합니다.
<송영길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To build a stronger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t is necessary to internationalize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other special economic zones in North Korea to protect them against any political influences that may stem from strained inter-Korean relations. The two of the biggest strengths of the Kaesong complex are its competitive labor and cheap land costs while its biggest weakness is uncertainty caused by geopolitical risks. Nothing is worse than uncertainty in economy. It is necessary to internationalize the Kaesong complex by accepting investments from China, Russia, Japan and the US to eliminate uncertainty and risks of being shut down ever again by political conflicts between the two Koreas. Other special economic zones in North Korea that need to be internationalized include (1) Sinuiju that should be linked with the Chinese port city of Dandong; (2) the Rajin-Sonbong special economic zone that should accept investments from China, Japan, and Russia; and (3) Wonsan that should accept investments from the US. The ultimate goal should be to make Incheon, Kaesong, and Haeju the frontrunners in creating a free trade zone in North Korea, just like Hong Kong, Shenzhen, and Guangzhou were in China’s reform and opening-up policy.
This will work like a Marshall Plan for North Korea.
개성공단이 그대로 확장된다고 보기는 어렵고 이것을 국제화시켜야 된다고 봅니다 그래서 앞으로 남북관계가 앞으로 정치적으로 약간 갈등이 생기더라도 안정적으로 공단이 유지가 되도록 해야 됩니다. 개성공단의 장점은 값싼 부지와 경쟁력 있는 노동력은 장점이지만 불확실성, 불안정성이 가장 최대의 약점입니다 그런데 경제에서 불확실성만큼 나쁜 요소는 없거든요 그러니까 불확실성을 제거하려면 개성공단을 국제화시켜서 남북이 함부로 서로간의 갈등으로 문을 닫지 못하도록 해줘야 합니다. 그래서 개성공단에 미국 일본 러시아 중국 자본이 같이 투자되도록 만드는게 필요하고, 그 다음에 신의주 단둥을 통합경제특구로 만드는 방안, 나진 선봉을 러시아와 일본이 통합 특구로 중국과 함께 만드는 방안, 원산을 이제 미국이 개방하겠다고 그러니까 미국 자본이 들어와서 원산이 국제화되는 것, 이렇게 특구들을 만들어내고 종국적으로 제가 주장하는 것은 홍콩과 신천, 광저우처럼 중앙 삼각 지역이 중국의 개혁개방의 불꽃이 되었던 것처럼 우리 한강 삼각지구로서 홍콩의 역할을 하는 인천, 심천의 역할을 하는 개성, 광저우의 역할을 하는 해주, 삼각클러스터를 통해서 자유무역지대를 만나면 저는 북한의 제 2의 마셜 플랜이 가능해질 거라 생각합니다.
<김영교 / SBSCNBC 기자>
During the press conference after the summit with the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US President Donald Trump said that he told Kim that North Korea could have the best hotels in the world instead of exploding the canons in the ocean. Could the opening of North Korea's tourism industry be the first step?
도널드 트럼프가 북미정상회담 직후에 기자회견에서 자신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바다에 대포 쏘는 것은 그만하고 대신에 호텔 같은 것을 짓기 시작할 수 있다고 설득했다고 했는데, 북한의 관광시장 개방이 관광시장 개방이 첫걸음이 될 수가 있을까요. 어떻게 보십니까?
<송영길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One of the major reasons why tours to Mt. Kumkang were abruptly suspended in 2008 was becaus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d suspicions that a large portion of the proceeds from the tours might have gone to developing North Korea’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nuclear programs. However, if the North agreed to denuclearization and made progress toward it, then it would lead to not just a resumption of tours to Mt. Kumkang but also diversification of tourist destinations to Kaesong, Mt. Baekdu, Wonsan, and many others.
그렇죠. 가장 그동안 금강산 관광이 중단되었던 이유가 금강산 관광에 들어가는 현금 비용이 북한의 대량 살상 무기나 핵무기 개발비용으로 전용된 게 아니냐 이런 이제 의구심 때문에 중단이 된 거잖아요. 그런데 북한이 비핵화 문제가 합의가 되고 구체화되고 그런다면 금강산 관광은 뭐 다시 재개될 수가 있고 금강산 관광 뿐만 아니라 개성 관광 백두산 원산 각 분야로 확대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김영교 / SBSCNBC 기자>
What are the prerequisites of the new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새로운 남북경협이 시작되기 위한 전제조건은 뭡니까?
<송영길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Obviously, denuclearization is at the top of the list. Now that the broad agreement has come out of the US-North Korea summit in Singapore, a detailed action plan should be made for denuclearization, and economic sanctions on North Korea should be lifted along the way. So I hope U.S.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will use his visits to Pyongyang to lay out a detailed roadmap for denuclearization. I think U.S. sanctions on North Korea should be lifted at least partially even before that. Specific actions that could be taken by the North for denuclearization might include a shutdown of its ICBM test sites. It would be a major symbolic gesture that could give Washington peace of mind by eliminating the risk of ICBMs landing on US soil. In return for this, hopefully, Washington would lift some of its sanctions on North Korea.
역시 비핵화죠. 비핵화고, 비핵화의 구체합의를 통해서 경제 제재를 해제시켜야 되고, 일단 6·12북미 정상회담으로 큰 틀이 합의가 되었는데 구체적인 비핵화로 가는 조치와 함께 경제제재가 해제되어야 된다고 봅니다. 그래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이번 3차 방북에서 구체적 로드맵이 나왔으면 좋겠고요. 그 전이라도 저는 일부는 좀 해제될 필요가 있지 않느냐, 구체적 비핵화 조치가 들어간다면 예를 들어서 지금 미국이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ICBM 미사일 훈련 기지를 폐쇄시킨다면 그것은 큰 상징적인 조치가 되고 미국 본토에 ICBM이 공격할 수 있는 위험 심리적 위험을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에 상응해서 일부 제재가 해제되는 조치가 있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김영교 / SBSCNBC 기자>
The two Koreas technically remain at war as the Korean War ended only with a cease-fire, not a peace treaty.
남한과 북한은 전쟁이 중단돼 있는 휴전 상태로 남아있고, 평화 협정은 체결하지 않아 사실 상 대치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In the wake of the conflict…the first time the top leaders of the two sides met was the 2000 summit between then South Korean President Kim Dae-jung and then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전쟁이 발발한 이후, 양측의 정상이 처음으로 만난 건 바로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당시 북한 국방위원장이 만났던 2000년 남북정상회담이었습니다.
The summit meeting was made possible because Kim Dae-jung was a liberal politician who pursued his trademark "Sunshine Policy" of engagement with the North. His election had ended decades of conservative rule in the South.
진보 진영 정치인이었던 김대중 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햇볕정책"이라는 포용 정책을 펼쳤기에 첫 정상회담이 성사됐습니다. 김대중 정부는 남한에서 수십년 간 이어졌던 보수 정권 이후 첫 정권 교체를 이뤄낸 정부였습니다.
The historic summit earned President Kim the Nobel Peace Prize later that year.
그리고 그 역사적인 정상회담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은 그 해 노벨평화상을 받게 됩니다.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continued even after Kim left office as his liberal successor, Roh Moo-hyun, inherited his engagement policy and pursued greater exchanges with their communist neighbor.
남한과 북한의 교류는 김대중 전 대통령 이후에도 이어졌습니다. 그의 후임이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은 포용 정책을 이어 받아, 북한과의 교류를 확대해 나갔습니다.
It was when Roh was in office th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began operations in 2005 after years of construction. The project combined cheap North Korean labor with South Korean capital and technology.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임기 중이었던 2005년, 개성공단이 몇 년 간의 공사 끝에 완성돼 가동됐습니다. 남한의 자본과 기술이 북한의 저렴한 인건비와 합쳐진 사업이었습니다.
It was touted as one of the most tangible fruits of the South's reconciliation policy.
남한의 대북 화해협력 정책 중 가장 실질적인 결과물을 낸 것 중 하나로 여겨진 사업이기도 했습니다.
Despite such rapprochement, security tensions persisted along the border, with the two sides fighting deadly naval skirmishes, and the North relentlessly pursuing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이러한 포용 정책에도, 군사적 긴장감은 이어졌습니다. 해상에서 충돌이 일어나 사상자가 나오기도 했고, 북한은 끈질기게 핵 미사일 개발을 이어왔습니다.
These tensions fueled criticism from conservatives that the North was using proceeds from economic exchanges with the South for weapons development.
이러한 긴장감이 이어지면서, 보수 진영에서는 북한이 남한과의 경제 교류에서 얻은 이익을 무기 개발에 이용한다고 비판했습니다.
It was near the end of Roh Moo-hyun’s five-year term in office that the two Koreas held their second summit in Pyongyang.
노무현 대통령의 5년 임기가 거의 끝나갈 무렵, 남한과 북한은 평양에서 두 번째 정상회담을 열었습니다.
He met with then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in October 2007…Traveling to the North by land and becoming the first South Korean leader to cross the border on foot.
2007년 10월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난 노무현 대통령은, 육로를 통해 북한으로 넘어갔고, 걸어서 남한에서 북한으로 넘어간 첫 대통령이었습니다.
South Korea's current President, Moon Jae in, was then Roh's chief of staff.
문재인 대통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이었습니다.
And he was in charge of overseeing preparations for the summit.
그리고 문 대통령은 당시 정상회담의 준비를 담당했습니다.
The summit deals, however, quickly fell apart as Roh's conservative successor, Lee Myung-bak, took office with a policy of getting tough on Pyongyang.
하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의 후임이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이 정권을 잡은 후 분위기는 바뀌었습니다.
That led to a near freeze in cross-border cooperation and exchanges…along with rapidly deteriorating relations between the two sides.
남북 경협과 교류는 얼어붙기 시작했고, 관계는 빠르게 악화됐습니다.
The frayed ties continued after Lee left office because he was replaced by another conservative leader, Park Geun-hye. It was when Park was in power th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as shut down in 2016 after more than a decade of operations.
날카로워진 남북 관계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청와대를 떠나고, 보수 진영에서 나온 또다른 대통령 박근혜 전 대통령이 들어온 이후에도 이어졌습니다. 십년이 넘도록 가동되던 개성공단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임기 중인 2016년에 가동이 중단됐습니다.
But Park was ousted from office before the end of her term after she was impeached for a massive corruption scandal involving a long-time friend.
박근혜 대통령은 오랜 친구였던 최순실씨와 국정농단 사건에 휘말리면서 탄핵을 당해 임기를 끝마치지 못했습니다.
Since taking charge in May of last year, President Moon Jae-in has consistently pursued a policy of dialogue with the North.
지난해 5월에 취임한 이후,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과의 대화 정책을 꾸준히 추구해 왔습니다.
The first progress came at the start of this year when North Korea’s leader agreed to send a delegation to the Winter Olympics in Pyeongchang, South Korea, leading to the resumption inter-Korean dialogue.
첫 성과는 연초에 나왔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창 동계올림픽에 북한 선수단을 보내기로 결정을 한 겁니다. 그리고 결국은 남북 간의 대화 재개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Welcome to Korea Report, where we deliver the latest on South Korea's business, culture, and society. I'm your host, Young-gyo Kim.
한국의 산업과 문화, 사회에 대해 다루는 코리아리포트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저는 김영교입니다.
And I'm standing on the Grand Unification Bridge, Which leads to the inter-Korean Kaesong Industrial Complex in North Korea, just south of the demilitarized zone that divides the peninsula.
저는 지금 개성공단으로 이어지는 통일대교 위에 서 있습니다.
In this edition of Korea Report, we'll take an in-depth look at how new economic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ould develop in the coming years.
이번 코리아리포트에서는 남한과 북한 간의 새로운 경제 협력에 대해 전망해 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On April 27, the world’s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Korean peninsula as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held their first summit.
4월 27일, 전세계의 시선은 한반도에 쏠렸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첫 정상회담을 열었기 때문입니다.
Kim made the historic border crossing into the truce village of Panmunjom…the first time a North Korean leader had stepped onto South Korean soil since at least the end of the 1950-53 Korean War.
김정은 위워장은 군사분계선을 넘어 판문점 남측으로 직접 걸어왔습니다. 1950년에서 1953년에 걸친 전쟁 이후, 북측 정상이 남한 땅을 밟은 건 처음이었습니다.
The Moon-Kim meeting was the first-ever inter-Korean summit to be held in South Korea…and the third ever meeting between leaders of the two nations.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간의 회담은 남한에서 열린 첫 정상회담이었고, 두 나라 정상의 세번째 만남이었습니다.
A record number of journalists from around the globe covered the event that Moon said could mark the start of the long-delayed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전세계에서 회담을 취재하기 온 기자 수는 기록적이었습니다. 문 대통령이 말했듯이 오랫동안 지연돼 온 북한의 비핵화의 시작이 될 수도 있는 회담이었습니다.
People watched live broadcasts on TV and online of the two leaders shaking hands at the joint security area of Panmunjom…inside the heavily fortified demilitarized zone dividing the two Koreas.
두 정상이 경비가 삼엄한 판문점의 공동경비구역 안에서 악수를 나누는 모습을 사람들은 TV와 인터넷을 통해 생중계로 시청했습니다.
Esteemed people of South and North Korea…I am taking a bold step with Chairman Kim Jong-un toward achieving – with our own strength – peace, common prosperity and our long cherished hope for reunification.
[문재인 대통령 : 존경하는 남북의 국민 여러분, 나는 김정은 위원장과 함께 남북 모두의 평화, 공동 번영, 민족 염원 통일을 우리 힘으로 이루기 위해 담대한 발걸음을 시작합니다.]
When the road that I traveled today becomes the road through which all people of North and South Korea can freely pass, and when Panmunjeom – where we stand today – turns from a symbol of heart-wrenching division to a symbol of peace, North and South Korea – which share one blood, one language, one history and one culture – will finally be one as we were before, and bask in the endless prosperity for thousands of generations to come.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 오늘 내가 다녀간 이 길로 북과 남의 모든 사람들이 자유롭게 오갈 수 있게 되고 우리가 지금 서 있는 가슴 아픈 분단의 상징인 판문점이 평화의 상징으로 된다면 하나의 핏줄, 하나의 언어, 하나의 역사, 하나의 문화를 가진 북과 남은 본래대로 하나가 되어 민족 만대 번영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It was a sudden turn of events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nearly reaching the brink of war a year ago.
불과 1년 전만 해도 긴장감이 맴돌던 한반도에선 상상도 할 수 없던 일이었습니다.
During the April summit, President Moon handed Kim a USB memory stick containing a "New Economic Plan for the Korean Peninsula."
11년만의 남북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자신의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설명한 책자와 프레젠테이션 영상을 담은 USB를 김정은 위원장에게 직접 전달했는데요.
The plan is a blueprint for how the two Koreas could work for economic cooperation, creating three “belts” — One along the east coast for energy and resources, another along the west coast for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nd a third across the land border for tourism.
한반도 신경제구상은 남북을 `동해권 에너지·자원 벨트` 와 `서해권 산업·물류·교통 벨트` , 그리고 접경지역인 `비무장지대(DMZ) 환경·관광벨트` 등 3개 벨트로 묶어 개발하고, 이를 북방경제와 연계해 남북이 동북아 경제협력의 허브로 도약한다는 내용입니다.
We will freshly connect South and the North – where they have been disconnected by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 with an economic belt and establish an economic community where the two Koreas can proper together.
[문재인 대통령 / 독일 쾨르버재단 연설 (지난해 7월 6일) : 군사분계선으로 단절된 남북을 경제벨트로 새롭게 잇고 남북이 함께 번영하는 경제공동체를 이룰 것입니다.]
The historic summit between U.S. President Donald Trump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has raised hopes for a new economic blueprint for the Korean Peninsula. But South Korean leaders are still cautious because sanctions will remain in place until denuclearization truly happens.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의 역사적인 정상회담은 새로운 한반도 경제 구상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Even after Trump and Kim held their summit in Singapore, the U.S. government has emphasized that sanctions on the North will not be lifted until the reclusive nation commits to getting rid of its nuclear weapons.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정상회담을 한 이후에도, 북한이 모든 핵무기를 제거한다는 약속을 하기 전까지 미국은 북한에 대한 경제 제재를 풀지 않겠다고 강조했습니다.
Rep. Song Young-gil of the ruling Democratic Party, heads South Korea's Presidential Committee on Northern Economic Cooperation.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송영길 국회의원은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의 위원장을 맡고 있습니다.
He told me he expects economic projects with North Korea will gain momentum if there are some meaningful "follow-up" steps after the Trump-Kim summit.
송 의원은 SBS CNBC와의 인터뷰에서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후속 조치가 의미 있게 이행될 경우, 북한과의 경제 협력이 힘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영교 / SBSCNBC 기자>
Representative Song, you have been leading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Northern Economic Cooperation. Tell us what it does.
의원님은 현재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장을 맡고 계신데요. 여기서 말하는 북방경제협력의 개념이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송영길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Following the collapse of the Eastern Bloc in the mid to late 1990s, the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two main opposing blocs of the Cold War swung decisively toward the Western Bloc. With the Cold War coming to an end, Nordpolitik or Northern Policy, the signature foreign policy of former South Korean president Roh Tae-woo, guided South Korean efforts to reach out to the traditional allies of North Korea, including the former Soviet Union and other communist Eastern Bloc countries. The so-called “New Northern Policy” unveiled by current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is aimed at easing political and military tensions through economic cooperation not just between the two Koreas, but also between China and Russia on one side and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other at this critical moment when the clouds of the New Cold War gather over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sanctions imposed on Russia by the US and the European Union following Russia’s annexation of Crimea; and US-China clashes over trade and South China sea.
그동안 사실 사회주의권과 우리 자유주의 자유시장권이 분리된게 1990년 중후반 동구권이 붕괴되면서 전체 시장경제를 통합이 되었잖아요 그때 그걸 북방 정책이라고 그랬습니다 노태우 정부 때 그런데 문재인 정부 때 신북방정책이 북핵문제로 남북이 긴장이 강화되고 그리고 클리니아 반도 합병 이후로 러시아에 대한 EU와 미국의 경제 제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미러간의 관계가 아주 안 좋아지고 있고 또 중국의 남중국해를 둘러싼 군사적 긴장 그리고 무역전쟁으로 미중관계도 안 좋아져서 신 냉전이 도래하려는 이 시기에 경제협력을 통해서 남북관계 중러와 미일간의 관계를 완화시켜 보자라는 정책이 신북방정책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김영교 / SBSCNBC 기자>
Hope for economic cooperation among two Koreas and neighboring countries are growing after the inter-Korean summit, followed by the U.S.-North Korea summit. How do you see the current situation?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북미정상회담까지 이어지면서, 북한을 포함한 북방경제협력이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요즘 분위기, 어떻게 보십니까.
<송영길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Just last year, war anxiety reached its peak o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ests. But President Moon’s diplomatic efforts have gone a long way toward bringing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inter-Korean dialogue resumed on the occasion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paving the way for the two historic summit meetings: the inter-Korean summit on April 27 and the US-North Korea summit on June 12. We have to make full use of this rare opportunity for peace and prosperity. But there are still many hurdles to be jumped before we can do just that. And I believe economic cooperation is key.
아시다시피 작년만 하더라도 바로 미사일이 날아올 거 같은 일촉즉발의 상황을 우리 문재인 대통령의 탁월한 외교역량은 작년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 간의 대화가 시작되었고 이것이 4·27판문점 회담으로 연결되고 결국 6·12 미북정상회담까지 만들어져서 지금의 기적 같은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불안한 면이 없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잘 지켜내고 이것이 현실화시켜내는 그런 과제가 저희 앞에 있습니다, 그것이 저는 바로 경제협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영교 / SBSCNBC 기자>
It seems like President Moon Jae-in's vision for an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ka the New Economic Plan for the Korean Peninsula, could come true. Please elaborate on this new economic plan.
남북 협력 아래 한반도를 하나로 묶어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그리겠다던 문재인 대통령의 청사진이 현실로 다가오는 듯 합니다. 이 '한반도 신경제구상'란 무엇입니까.
<송영길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left the two Koreas more isolated than an island country. If the breakthrough came at inter-Korean relations, North and South Korea would be able to combine each other’s strengths, creating tremendous upside potential for economic growth. A lot of South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have been moving their production to other countries like China, Vietnam, Laos, and Cambodia in search of cheap labor and industrial land. Compared to these countries, however, North Korea is much more competitive in terms of labor and land costs. 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for example, a typical worker earns less than $100 a month, and the land price is less than 2.5% of that of the Incheon Namdong Industrial Complex in South Korea. These strengths combined with South Korea’s technical excellence would create a major growth engine for a unified Korean Peninsula, that is sandwiched between Japan and China. Besides, North Korea is rich in mineral reserves and tourism resources. If these resources are tapped and the North’s crumbling infrastructure, such as road and train systems, is fixed and linked with South Korea, the economic territory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expand into Eurasia, creating a new engine for economic growth.
우리 대한민국이 한반도라는 땅에 살고 있는데 한 반도라는 말은 반은 섬이라는 뜻이잖아요 페니쉴라라는 말이 반은 대륙, 반은 해양으로 싸여있는 건데 실제로 분단되어서 섬보다 더 심각하게 차단 고립되어 있습니다. 남북관계가 뚫리게 되면 일단 북과 남의 그 장점이 결합되면 엄청난 경제력이 나올 수가 있습니다. 우리 대한민국 중소기업들이 공장 부지가 부족하고 노동력이 부족해서 중국이나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로 다 공장이 이전되고 있는데 북한은 훨씬 더 경쟁력 있는 노동력, 그 한달 급여가 약 100달러가 채 안되는 급여와 평당 한 17만 5천 원 개성공단이 우리 인천남동구단이 800만 원입니다 평당, 그런데 그런 싼 공장부지가 제공되어서 대한민국의 기술력이 결합된다면 중국과 일본 사이에 넛츠크레이커처럼 중간에 끼어있는 대한민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북에 엄청난 광물자원 관광자원 연결되고 또 북에 북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면 모든 비행기나 이런 배나 기차 이게 노선이 대륙 경제와 연결됨으로서 새로운 성장 동력이 생긴다고 볼 수 있습니다.
<김영교 / SBSCNBC 기자>
Operated jointly by Seoul and Pyongyang from 2004 to 2016, Kaesong was a symbol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hat do you expect the new form of the economic cooperation to be?
말씀하셨지만 우리가 남북경협이라고 한다면 우선 개성공단을 늘 먼저 떠 올렸잖아요. 앞으로 올 남북경협이라는 것은 개성공단과 같은 것이 확장된 형태가 될 것인지 또 다른 형태가 될 것인지 궁금합니다.
<송영길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To build a stronger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t is necessary to internationalize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other special economic zones in North Korea to protect them against any political influences that may stem from strained inter-Korean relations. The two of the biggest strengths of the Kaesong complex are its competitive labor and cheap land costs while its biggest weakness is uncertainty caused by geopolitical risks. Nothing is worse than uncertainty in economy. It is necessary to internationalize the Kaesong complex by accepting investments from China, Russia, Japan and the US to eliminate uncertainty and risks of being shut down ever again by political conflicts between the two Koreas. Other special economic zones in North Korea that need to be internationalized include (1) Sinuiju that should be linked with the Chinese port city of Dandong; (2) the Rajin-Sonbong special economic zone that should accept investments from China, Japan, and Russia; and (3) Wonsan that should accept investments from the US. The ultimate goal should be to make Incheon, Kaesong, and Haeju the frontrunners in creating a free trade zone in North Korea, just like Hong Kong, Shenzhen, and Guangzhou were in China’s reform and opening-up policy.
This will work like a Marshall Plan for North Korea.
개성공단이 그대로 확장된다고 보기는 어렵고 이것을 국제화시켜야 된다고 봅니다 그래서 앞으로 남북관계가 앞으로 정치적으로 약간 갈등이 생기더라도 안정적으로 공단이 유지가 되도록 해야 됩니다. 개성공단의 장점은 값싼 부지와 경쟁력 있는 노동력은 장점이지만 불확실성, 불안정성이 가장 최대의 약점입니다 그런데 경제에서 불확실성만큼 나쁜 요소는 없거든요 그러니까 불확실성을 제거하려면 개성공단을 국제화시켜서 남북이 함부로 서로간의 갈등으로 문을 닫지 못하도록 해줘야 합니다. 그래서 개성공단에 미국 일본 러시아 중국 자본이 같이 투자되도록 만드는게 필요하고, 그 다음에 신의주 단둥을 통합경제특구로 만드는 방안, 나진 선봉을 러시아와 일본이 통합 특구로 중국과 함께 만드는 방안, 원산을 이제 미국이 개방하겠다고 그러니까 미국 자본이 들어와서 원산이 국제화되는 것, 이렇게 특구들을 만들어내고 종국적으로 제가 주장하는 것은 홍콩과 신천, 광저우처럼 중앙 삼각 지역이 중국의 개혁개방의 불꽃이 되었던 것처럼 우리 한강 삼각지구로서 홍콩의 역할을 하는 인천, 심천의 역할을 하는 개성, 광저우의 역할을 하는 해주, 삼각클러스터를 통해서 자유무역지대를 만나면 저는 북한의 제 2의 마셜 플랜이 가능해질 거라 생각합니다.
<김영교 / SBSCNBC 기자>
During the press conference after the summit with the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US President Donald Trump said that he told Kim that North Korea could have the best hotels in the world instead of exploding the canons in the ocean. Could the opening of North Korea's tourism industry be the first step?
도널드 트럼프가 북미정상회담 직후에 기자회견에서 자신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바다에 대포 쏘는 것은 그만하고 대신에 호텔 같은 것을 짓기 시작할 수 있다고 설득했다고 했는데, 북한의 관광시장 개방이 관광시장 개방이 첫걸음이 될 수가 있을까요. 어떻게 보십니까?
<송영길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One of the major reasons why tours to Mt. Kumkang were abruptly suspended in 2008 was becaus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d suspicions that a large portion of the proceeds from the tours might have gone to developing North Korea’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nuclear programs. However, if the North agreed to denuclearization and made progress toward it, then it would lead to not just a resumption of tours to Mt. Kumkang but also diversification of tourist destinations to Kaesong, Mt. Baekdu, Wonsan, and many others.
그렇죠. 가장 그동안 금강산 관광이 중단되었던 이유가 금강산 관광에 들어가는 현금 비용이 북한의 대량 살상 무기나 핵무기 개발비용으로 전용된 게 아니냐 이런 이제 의구심 때문에 중단이 된 거잖아요. 그런데 북한이 비핵화 문제가 합의가 되고 구체화되고 그런다면 금강산 관광은 뭐 다시 재개될 수가 있고 금강산 관광 뿐만 아니라 개성 관광 백두산 원산 각 분야로 확대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김영교 / SBSCNBC 기자>
What are the prerequisites of the new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새로운 남북경협이 시작되기 위한 전제조건은 뭡니까?
<송영길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Obviously, denuclearization is at the top of the list. Now that the broad agreement has come out of the US-North Korea summit in Singapore, a detailed action plan should be made for denuclearization, and economic sanctions on North Korea should be lifted along the way. So I hope U.S.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will use his visits to Pyongyang to lay out a detailed roadmap for denuclearization. I think U.S. sanctions on North Korea should be lifted at least partially even before that. Specific actions that could be taken by the North for denuclearization might include a shutdown of its ICBM test sites. It would be a major symbolic gesture that could give Washington peace of mind by eliminating the risk of ICBMs landing on US soil. In return for this, hopefully, Washington would lift some of its sanctions on North Korea.
역시 비핵화죠. 비핵화고, 비핵화의 구체합의를 통해서 경제 제재를 해제시켜야 되고, 일단 6·12북미 정상회담으로 큰 틀이 합의가 되었는데 구체적인 비핵화로 가는 조치와 함께 경제제재가 해제되어야 된다고 봅니다. 그래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이번 3차 방북에서 구체적 로드맵이 나왔으면 좋겠고요. 그 전이라도 저는 일부는 좀 해제될 필요가 있지 않느냐, 구체적 비핵화 조치가 들어간다면 예를 들어서 지금 미국이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ICBM 미사일 훈련 기지를 폐쇄시킨다면 그것은 큰 상징적인 조치가 되고 미국 본토에 ICBM이 공격할 수 있는 위험 심리적 위험을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에 상응해서 일부 제재가 해제되는 조치가 있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엔진서 불꽃이" 승객들 공포...아시아나 여객기 운항 취소
- 2.연봉 1억이면 7500만원 꽂히는데, SK하이닉스 노조 거절 왜?
- 3.고속도로 휴게소 판매 2위는 호두과자...매출 22억 1위는?
- 4.부모님 '이상 신호' 살피세요…무료 실버운동교실 2배 확대
- 5.월 300만원씩 국민연금 받는 사람 나왔다…누구일까?
- 6."성과급 1450% 부족? 더 달라"…사측 제안 거절한 SK하이닉스 노조
- 7.트럼프가 불 질렀다…증시 뛰어 넘은 가상자산
- 8.돈이 벌려야 빚을 갚지...은행들 연체율 눈덩이
- 9.'아이폰 판매 부진'에...애플, AI 부서에 36년 베테랑 엔지니어 투입
- 10.KT 구조조정 직원 사망…무리한 구조조정 역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