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수길 ‘썰렁’ 로데오는 ‘북적’…무슨 일이?
SBS Biz 이광호
입력2018.06.26 18:06
수정2018.06.26 21:06
<앵커>
서울 강남의 대표적인 상권 가운데 하나인 신사동 '가로수길'이 예전만 못하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반면 최근까지 가로수길에 밀려 쇠락의 길을 걷던 압구정동 '로데오 거리'는 과거 명성을 되찾고 있다는데요.
두 지역의 엇갈린 사연을 이광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중심부 노른자위 상가 곳곳에 임대 표지판이 붙었습니다.
몇 년 전만 해도 서울 신사역 인근 가로수길에서 흔히 볼 수 없었던 모습입니다.
그나마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관광객 수가 급격히 줄었던 지난해보다는 사정이 나아졌다는 게 이곳 상인들의 설명입니다.
이들이 지목하는 가장 큰 문제점은 과도한 임대료.
[가로수길 상인 : (건물주가) 자기들은 그 가격 아니면 안 받는다고 (임대료를) 안 내리는 거예요. 융통성 있는 분들은 가격을 내려서 하는데, (일부는) 옛날 가격대 그대로 하는 거예요.]
이와는 반대로, 오랜 기간 침체됐다가 부활의 기지개를 켜는 곳도 있습니다.
바로 이곳, 가로수길과 청담 등 인근 상권에 밀렸던 압구정 로데오거리입니다.
로데오 거리에서는 지난해 건물주와 상인 등이 모여 상권 활성화 추진위원회를 설립했습니다.
건물주만 40여 명이 참여했는데, 먼저 점포 임대료부터 내렸습니다.
[이필상 / 로데오거리 상권활성화 추진위원회 부위원장 : 나는 점포값(임대료)을 반으로 내리겠다, 어느 분은 3분의 1 내리겠다… 거기에 점포가 전부 들어와 차서 장사가 되고 그러니까 옆에 있는 사람들, (점포가) 비어 있는 사람들도 영향을 받게 되죠.]
임대료가 내려가자 자연스럽게 상인들이 찾아오기 시작했습니다.
[우현경 / 로데오거리 미용실 운영 : 여기로 올 때 (월세) 180만 원 정도… 가로수길에 있을 때보다 생각보다 저렴해졌다고 실질적으로 느끼게 돼서 놀랐고요. 예전보다 훨씬 규모도 크고 시설도 깨끗하고…]
새로운 상권이 형성되면서 임대료가 오르고, 이를 버티지 못한 상인과 주민들이 떠나는 현상을 '젠트리피케이션'이라 부릅니다.
과거 젠트리피케이션의 대명사였던 로데오거리가 '상생'의 길을 택하면서 위기를 재도약의 기회로 바꾸고 있습니다.
SBSCNBC 이광호입니다.
서울 강남의 대표적인 상권 가운데 하나인 신사동 '가로수길'이 예전만 못하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반면 최근까지 가로수길에 밀려 쇠락의 길을 걷던 압구정동 '로데오 거리'는 과거 명성을 되찾고 있다는데요.
두 지역의 엇갈린 사연을 이광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중심부 노른자위 상가 곳곳에 임대 표지판이 붙었습니다.
몇 년 전만 해도 서울 신사역 인근 가로수길에서 흔히 볼 수 없었던 모습입니다.
그나마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관광객 수가 급격히 줄었던 지난해보다는 사정이 나아졌다는 게 이곳 상인들의 설명입니다.
이들이 지목하는 가장 큰 문제점은 과도한 임대료.
[가로수길 상인 : (건물주가) 자기들은 그 가격 아니면 안 받는다고 (임대료를) 안 내리는 거예요. 융통성 있는 분들은 가격을 내려서 하는데, (일부는) 옛날 가격대 그대로 하는 거예요.]
이와는 반대로, 오랜 기간 침체됐다가 부활의 기지개를 켜는 곳도 있습니다.
바로 이곳, 가로수길과 청담 등 인근 상권에 밀렸던 압구정 로데오거리입니다.
로데오 거리에서는 지난해 건물주와 상인 등이 모여 상권 활성화 추진위원회를 설립했습니다.
건물주만 40여 명이 참여했는데, 먼저 점포 임대료부터 내렸습니다.
[이필상 / 로데오거리 상권활성화 추진위원회 부위원장 : 나는 점포값(임대료)을 반으로 내리겠다, 어느 분은 3분의 1 내리겠다… 거기에 점포가 전부 들어와 차서 장사가 되고 그러니까 옆에 있는 사람들, (점포가) 비어 있는 사람들도 영향을 받게 되죠.]
임대료가 내려가자 자연스럽게 상인들이 찾아오기 시작했습니다.
[우현경 / 로데오거리 미용실 운영 : 여기로 올 때 (월세) 180만 원 정도… 가로수길에 있을 때보다 생각보다 저렴해졌다고 실질적으로 느끼게 돼서 놀랐고요. 예전보다 훨씬 규모도 크고 시설도 깨끗하고…]
새로운 상권이 형성되면서 임대료가 오르고, 이를 버티지 못한 상인과 주민들이 떠나는 현상을 '젠트리피케이션'이라 부릅니다.
과거 젠트리피케이션의 대명사였던 로데오거리가 '상생'의 길을 택하면서 위기를 재도약의 기회로 바꾸고 있습니다.
SBSCNBC 이광호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금값 끝없이 오르는데…쳐다도 안보는 한국은행, 왜?
- 2.[단독] 네이버, 가품 논란에 '초강수'…1년 정산금 안 준다
- 3.[단독] '짝퉁 패딩' 또 나왔다…네이버·지그재그·에이블리·W컨셉 등 판매
- 4.삼양 '불닭 천하' 흔들리나…트럼프 '매운맛' 예고
- 5.전기차 이러다 방전될라...차값 깎아주다 결국은
- 6.'17억 갑자기 생겼다'…50% 성과급에 로또까지 누구일까?
- 7.돌반지 지금 팔까요? 말까요?…금값 최고라는데
- 8.당첨되면 최소 3억 번다…세종에 57만명 몰렸다
- 9.1만원대 5G 20기가 요금제 곧 나온다
- 10.연휴 때 먹은 삼겹살·김치, 원산지 조사하니 '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