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한국GM 법정관리 ‘데드라인’ 코앞…오늘 저녁 이사회 개최

SBS Biz 이대종
입력2018.04.23 08:54
수정2018.04.23 08:54

■ 경제와이드 모닝벨

<앵커>
지난 20일이었던 한국GM 노사 협상의 마감시한이 오늘(23일) 오후로 연기됐습니다.

시간을 벌었지만 노사가 평행선을 달려 최악의 상황도 배제하긴 힘든 상황입니다.

취재 기자와 함께 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대종 기자, 한국GM 노사합의 마감시한이 언제죠?

<기자>
오늘 오후 5시까지 미뤄졌습니다.

GM측이 당초 제시했던 시한은 지난 20일이었지만, 최후 교섭 시한을 사흘 더 연장한 셈인데요.

현재로서는 사실상의 마지막 '데드라인'일 거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지난주 금요일 임단협 합의가 결렬되자, 미국 출장 중인 김동연 부총리가 전화로 관계부처 장관들과 긴급 회의를 진행하기도 했는데요.

김 부총리 귀국 시간이 오후 5시입니다.

이 때까지 노사가 자구안을 합의하지 못하면 한국GM은 오후 8시 이사회를 열고 법정관리를 신청을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것 같은데, 노사 간 핵심 쟁점은 뭡니까?

<기자>
한국GM 노사는 오늘 새벽 5시부터 부평공장에서 14차 임단협 교섭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핵심쟁점은 희망퇴직 후 군산공장에 남은 근로자 680명의 고용 보장 문제입니다.

한국GM 사측은 군산공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노사 합의 타결 전에 추가로 희망퇴직을 받고, 전환배치에서 제외된 근로자는 4년 동안 무급휴직을 시행하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노사합의가 이뤄져야만 희망퇴직을 받을 수 있고, 무급휴직 기간을 5년 이상으로 하겠다던 기존 제시안에서는 한발 물러선 건데요.

하지만 노조는 아직까지 근로자 전원을 전환 배치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습니다.

<앵커>
산업은행이 실사를 진행 중인데, 중간 결과 내용은 어떻게 알려졌나요?

<기자>
아직 최종 보고서가 나오기 전이고, 여러 가지 '가정'들이 담긴 보고서는 전제가 있습니다만, 일단 현재까지 파악된 내용은 긍정적입니다.

노사자구안이 확정되고, GM본사 측의 해외사업부문 지원이 계속된다면 오는 2020년 정도에는 한국GM이 흑자로 돌아설 수 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런 내용은 이미 정부에도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결과만 보면 희망적인데, 이번 실사 보고서는 우리 정부와 채권단의 판단을 위한 건데, 어떤 내용이 규명돼야 하는 거죠?

<기자>
크게 두 가지 정도가 담긴 것으로 보이는데요.

우선 GM본사가 한국GM을 살리려는 의지가 크다는 가정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GM 본사가 공언한 지원 계획이나 노사 자구안 합의에 대한 실행수준을 가정해 담은 것으로 보이는데요.

아직까지 한국GM 노사가 자구안을 두고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만큼 좀 더 두고봐야할 것 같습니다.

또 하나는 한국GM 부실 원인으로 알려졌습니다.

GM본사가 돈을 빌려주면서 적정한 수준의 이자를 받았는지, 지나치게 높은 가격으로 부품을 팔지는 않았는지 여부인데요.

이 부분 역시 앞으로 있을 수 있는 산업은행 자금 지원여부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최종보고서가 나올 때까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지금까지 이대종 기자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이대종다른기사
한진칼 “KCGI, 주주권익 침해 주장은 억지”
건설협회 “탄력근로시간제 1년으로 늘려달라” 국회 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