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가공식품 표백제·발색제 사용 안전한 수준
SBS Biz
입력2018.02.01 10:41
수정2018.02.01 10:41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시중에 유통 중인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표백제·발색제 사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인체에 해가 없는 안전한 수준이었다고 1일 밝혔다.
식약처는 무수아황산, 아황산나트륨, 메타중아황산칼륨 등 식품의 색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백제 6종과 아질산나트륨,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등 식품의 색을 유지하거나 강화하는 발색제 3종이 사용될 수 있는 1천735개 제품을 분석했다.
그 결과 모든 제품에서 표백제 및 발색제는 사용 기준에 적합하게 쓰였고, 검출량을 토대로 실시한 위해평가에서도 인체에 우려가 없는 수준이었다.
표백제(이산화황)는 건조과일, 과실주, 건조채소 등 13개 식품유형(82건)에서 평균 48.7mg/kg이 검출됐고, 일일 노출량을 추정한 결과 일일섭취허용량(0.7mg/kg bw/day) 대비 0.2%(1.39㎍/kg bw/day)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식품을 통해 섭취된 표백제는 체내에서 빠르게 대사돼 소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일일섭취허용량 이내로만 섭취하면 괜찮다.
천식 환자나 일부 아황산염 민감자의 경우에는 아황산염 함유 식품 섭취 시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어서 제품의 표시사항을 확인해 아황산염의 함유 여부를 확인하는 게 좋다.
발색제(아질산이온)는 햄류, 소지지류, 베이컨류 등 9개 식품유형(389건)에서 평균 11.5mg/kg이 검출됐고, 일일섭취허용량(0.07mg/kg bw/day) 대비 2.0%(1.39㎍/kg bw/day)로 역시 안전했다.
'애디와 함께 하는 식품첨가물 여행'(어린이용 만화책)과 '식품첨가물 바르게 알기'(일반인용 소책자) 등 식품첨가물에 대한 이해를 돕는 식약처 홍보자료는 식약처 홈페이지 내 식품안전포털 식품안전나라에서 볼 수 있다.
(서울=연합뉴스)
식약처는 무수아황산, 아황산나트륨, 메타중아황산칼륨 등 식품의 색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백제 6종과 아질산나트륨,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등 식품의 색을 유지하거나 강화하는 발색제 3종이 사용될 수 있는 1천735개 제품을 분석했다.
그 결과 모든 제품에서 표백제 및 발색제는 사용 기준에 적합하게 쓰였고, 검출량을 토대로 실시한 위해평가에서도 인체에 우려가 없는 수준이었다.
표백제(이산화황)는 건조과일, 과실주, 건조채소 등 13개 식품유형(82건)에서 평균 48.7mg/kg이 검출됐고, 일일 노출량을 추정한 결과 일일섭취허용량(0.7mg/kg bw/day) 대비 0.2%(1.39㎍/kg bw/day)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식품을 통해 섭취된 표백제는 체내에서 빠르게 대사돼 소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일일섭취허용량 이내로만 섭취하면 괜찮다.
천식 환자나 일부 아황산염 민감자의 경우에는 아황산염 함유 식품 섭취 시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어서 제품의 표시사항을 확인해 아황산염의 함유 여부를 확인하는 게 좋다.
발색제(아질산이온)는 햄류, 소지지류, 베이컨류 등 9개 식품유형(389건)에서 평균 11.5mg/kg이 검출됐고, 일일섭취허용량(0.07mg/kg bw/day) 대비 2.0%(1.39㎍/kg bw/day)로 역시 안전했다.
'애디와 함께 하는 식품첨가물 여행'(어린이용 만화책)과 '식품첨가물 바르게 알기'(일반인용 소책자) 등 식품첨가물에 대한 이해를 돕는 식약처 홍보자료는 식약처 홈페이지 내 식품안전포털 식품안전나라에서 볼 수 있다.
(서울=연합뉴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러니 해외 가지'…강원 펜션 1박에 140만원 바가지
- 2.연 48만원 더 받는다는데…몰라서 못 타먹는 '가족연금'
- 3.국민연금 많이 받는다 좋아했는데…건보료 날벼락?
- 4.현금 12억 없으면 '그림의 떡'…"현금부자만 신났다"
- 5.'신의 커피'라더니 '1㎏에 4천200만원'…무슨 커피지?
- 6.'일 안하면 생활이 안되는데'…일하는 어르신 1000만명 시대
- 7.연봉이 아니라 월급이 4800만원?…SK하이닉스 월급 깜짝
- 8.쥐꼬리 국민연금 한숨...'이거' 일찍 가입하면 1500만원 더 번다?
- 9.[단독] 교통범칙금 30년 만에 인상?…도로공사 연구용역 착수
- 10."이럴 거면 예약 안 했죠"...제주 렌터카 뒷통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