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거래소 보안 취약…북한 해킹 시 ‘무방비’
SBS Biz 이호준
입력2018.01.29 20:16
수정2018.01.29 21:05
<앵커>
가상화폐 신규 거래가 내일(30일)부터 다시 시행됩니다.
그런데 일본 거래소 해킹 사건 등으로 거래소에 대한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취재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호준 기자, 주말 사이에 일본 거래소가 해킹당하면서 5천억 원 넘게 손해가 났는데요.
우리 정부 대응은 나온 게 있나요?
<기자>
네, 방송통신위원회는 올해 안으로 거래 규모 상위 2곳에 대해 보안조사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앞으로 과징금을 최대 10억 원까지 올리고, 집단손해배상 청구제도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최성호 / 방통위 기획조정관 : 가상통화 거래소 등 신유형 서비스의 개인정보보호의 수준에 대한 실태점검을 강화하겠습니다.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집단소송제도를 도입해 실질적인 피해구제 방안을 (마련하겠습니다.)]
<앵커>
실제로 현재 가상화폐 거래소의 보안 수준은 어떤가요?
<기자>
한마디로 허술합니다.
정부가 가상화폐 거래소 상위 10곳에 대해 점검했는데 단 한 곳도 기준을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허가된 사람만 데이터에 접근하는 통제 시스템도 없었고요.
심지어 해킹에 취약한 무선 공유기를 사용한 곳도 있었습니다.
은행과 비교할 때, 기본적인 보안장치가 전혀 안 돼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이야기 들어보시죠.
[김태봉 / 보안업체 대표 : 시중 금융회사들은 감독기관의 보안지침에 따라 보안 대책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규정을 지키지 않으면 징계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 철저할 수밖에 없고요. 거래소 자율규제 취지는 좋지만 감사·제재가 없으면 소홀해 질 수 있습니다.]
<앵커>
이호준 기자, 블록체인은 해킹이 불가능하다고 하는데 왜 거래소는 취약한 겁니까?
<기자>
블록체인 기술은 서로 정보를 흩어지게 해 놓고 공유하게 해서 안전한 것입니다.
논리상 거의 해킹이 불가능합니다.
그런데 거래소는 가상화폐 거래를 하려는 사람들과 가상화폐들을 한데 모아놓고 하는 형태입니다.
블록체인은 정보를 분산했는데 거래소는 다시 이를 모아놓아서 해킹에 취약한 것이죠.
여기에 거래소들이 보안 시스템에 투자를 하지 않고 이를 제도적으로 강제할 방법도 없는 것이 불안 요인입니다.
<앵커>
해킹하면 걱정되는 것이 북한 아닙니까?
가상화폐 분야에서도 북한 움직임이 있나요?
<기자>
지난해 대형 해킹 사건이 있었죠.
영국 대형병원과 중국 공공기관 등 전 세계 30만대 컴퓨터가 감염된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사건도 북한 소행으로 지목됐습니다.
북한 추정 해커들은 컴퓨터 정보를 풀어주는 대가로 비트코인을 요구했습니다.
지난해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해킹사건의 배후로도 북한이 거론되고 있기도 합니다.
[김승주 /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북한은 외화벌이 수단으로 해킹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은행권을 노렸습니다. (해킹) 타깃이 가상화폐 거래소로 바뀌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북한의) 가상화폐 해킹은 늘어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사이버 공격이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발생한다면, 문제는 심각해집니다.
이때문에 한국 정부뿐 아니라 미국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앵커>
가상화폐 관련한 북한의 움직임에 대해 미국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군요.
오늘,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가상화폐 신규 거래가 내일(30일)부터 다시 시행됩니다.
그런데 일본 거래소 해킹 사건 등으로 거래소에 대한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취재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호준 기자, 주말 사이에 일본 거래소가 해킹당하면서 5천억 원 넘게 손해가 났는데요.
우리 정부 대응은 나온 게 있나요?
<기자>
네, 방송통신위원회는 올해 안으로 거래 규모 상위 2곳에 대해 보안조사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앞으로 과징금을 최대 10억 원까지 올리고, 집단손해배상 청구제도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최성호 / 방통위 기획조정관 : 가상통화 거래소 등 신유형 서비스의 개인정보보호의 수준에 대한 실태점검을 강화하겠습니다.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집단소송제도를 도입해 실질적인 피해구제 방안을 (마련하겠습니다.)]
<앵커>
실제로 현재 가상화폐 거래소의 보안 수준은 어떤가요?
<기자>
한마디로 허술합니다.
정부가 가상화폐 거래소 상위 10곳에 대해 점검했는데 단 한 곳도 기준을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허가된 사람만 데이터에 접근하는 통제 시스템도 없었고요.
심지어 해킹에 취약한 무선 공유기를 사용한 곳도 있었습니다.
은행과 비교할 때, 기본적인 보안장치가 전혀 안 돼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이야기 들어보시죠.
[김태봉 / 보안업체 대표 : 시중 금융회사들은 감독기관의 보안지침에 따라 보안 대책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규정을 지키지 않으면 징계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 철저할 수밖에 없고요. 거래소 자율규제 취지는 좋지만 감사·제재가 없으면 소홀해 질 수 있습니다.]
<앵커>
이호준 기자, 블록체인은 해킹이 불가능하다고 하는데 왜 거래소는 취약한 겁니까?
<기자>
블록체인 기술은 서로 정보를 흩어지게 해 놓고 공유하게 해서 안전한 것입니다.
논리상 거의 해킹이 불가능합니다.
그런데 거래소는 가상화폐 거래를 하려는 사람들과 가상화폐들을 한데 모아놓고 하는 형태입니다.
블록체인은 정보를 분산했는데 거래소는 다시 이를 모아놓아서 해킹에 취약한 것이죠.
여기에 거래소들이 보안 시스템에 투자를 하지 않고 이를 제도적으로 강제할 방법도 없는 것이 불안 요인입니다.
<앵커>
해킹하면 걱정되는 것이 북한 아닙니까?
가상화폐 분야에서도 북한 움직임이 있나요?
<기자>
지난해 대형 해킹 사건이 있었죠.
영국 대형병원과 중국 공공기관 등 전 세계 30만대 컴퓨터가 감염된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사건도 북한 소행으로 지목됐습니다.
북한 추정 해커들은 컴퓨터 정보를 풀어주는 대가로 비트코인을 요구했습니다.
지난해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해킹사건의 배후로도 북한이 거론되고 있기도 합니다.
[김승주 /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북한은 외화벌이 수단으로 해킹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은행권을 노렸습니다. (해킹) 타깃이 가상화폐 거래소로 바뀌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북한의) 가상화폐 해킹은 늘어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사이버 공격이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발생한다면, 문제는 심각해집니다.
이때문에 한국 정부뿐 아니라 미국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앵커>
가상화폐 관련한 북한의 움직임에 대해 미국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군요.
오늘,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설 황금 연휴 엿새 쉬나…또 내수부양 단골카드?
- 2.홍역 전 세계 대유행…'여기' 갔다가 자칫 홍역 치룬다
- 3.믿고 샀는데 짝퉁?…이마트, 전액환불 무슨 일?
- 4.설 여행경비 40만원 쏩니다…역귀성 최대 40% 할인
- 5."대학 붙어 한시름 놨더니"...부모님들 이 소식에 '한숨'
- 6.외식도 줄이는 판에 車는 무슨...내수절벽 심각하네
- 7.커지는 '반도체 겨울'…삼성, 혹한기 길어지나
- 8.月 437만원 벌고 고급차 모는 노인도 기초연금?
- 9.이랜드마저…구스다운이라더니 오리털로 '꽉꽉'
- 10.삼성전자 추락 어디까지…영업익 6.5조 쇼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