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Korea Report] 정주환 부사장 "카카오, 미용 O2O 서비스 론칭할 것"

SBS Biz 김영교
입력2016.06.15 13:59
수정2016.06.15 13:59

■ The Leaders

<김영교 기자 / SBSCNBC>
부사장님, 오늘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외국의 시청자들은 카카오드라이버라는 서비스를 이해하기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간단하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정주환 부사장 / 카카오 O2O 사업부문 총괄>
네, 먼저 대리운전 자체가 익숙하지 않은 개념일 것 같아요. 대리운전은 하루 유동인구 2천만 명에 가까운 서울 중심에서 발생한 독특한 문화이자 산업입니다. 술자리나 비즈니스적인 이유로 운전할 수 없는 상황에서 ‘온디맨드’ 형태로 기사를 불러서 운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형태로 발전된 서비스입니다.

현재는 외국에서도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E따이찌아’라 불리는 대리운전이 굉장히 보편화 되어있고, 미국에서도 ‘Designated Driver’ 서비스 등이 다양하게 나오면서 한국뿐만 아니라 글로벌하게 다양한 시도들이 나오고 있는 영역입니다.

<김영교 기자 / SBSCNBC>
카카오는 메신저 서비스로 잘 알려져 왔었는데 대리운전 시장을 주목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니까?

<정주환 부사장 / 카카오 O2O 사업부문 총괄>
‘사람들의 실생활에서 어떤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을까’에서 출발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 첫 번째 프로젝트로 카카오택시를 작년 3월에 출시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출퇴근길 교통 정체나 대중교통 정보 부족 등 이동의 불편함이 지속적으로 존재하는데요. 이런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카카오택시 카카오내비, 카카오버스를 출시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자가운전이 어려운 경우에 대리운전 영역에서의 불편함과 불합리함도 많다고 생각되었고, 또한 카카오택시에서 쌓은 노하우들을 가장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영역이라고 생각해 대리운전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김영교 기자 / SBSCNBC>
카카오드라이버가 출시되기 전 기존의 대리운전업체와도 갈등이 있었는데요.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셨습니까?

<정주환 부사장 / 카카오 O2O 사업부문 총괄>
기존 시장을 침범한다기보다는, 이것을 통해서 그동안 불편함 때문에 대리운전을 이용하지 않았던 이용자층까지 확대가 되면서 새로운 시장을 열 수 있기를 바라며 기존의 업체와는 지속적으로 얘기를 나누고 있습니다. 실제로 그 분야에 종사하시는 분들과 얘기를 나눠보면서 과도한 수수료나 불합리한 보험료 문제들이 있었는데요. 이런 부분은 혁신을 통해서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든다면 사용자도, 종사자도 모두 만족할 거라는 생각에서 출발하게 되었습니다. 
   
<김영교 기자 / SBSCNBC>
카카오드라이버가 내놓는 다양한 서비스 확산에도 도움이 될 것 같은데요. 다른 서비스와 어떻게 연계·연동되나요?

<정주환 부사장 / 카카오 O2O 사업부문 총괄>
일단 기본적으로 위치기반 서비스이다 보니 카카오가 축적해온 다양한 영역의 서비스와 기술이 활용됩니다. 먼저 카카오내비 기술이 이용되었고, 사용자와 기사님이 만날 때 정확하게 지도상에서 위치를 보면서 만날 수 있도록 기존의 다음 지도가 가지고 있었던 도보길 안내 기술이 같이 활용되었습니다. 또한 결재 측면에서도 카카오페이의 자동결재에서 축적된 기술을 통해 한국에서 유일한 자동결재 시스템이 적용되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기술들이 결합되어서 카카오드라이버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김영교 기자 / SBSCNBC>
콜택시 서비스였던 카카오택시는 성공적이었습니다. 카카오드라이버도 카카오택시만큼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정주환 부사장 / 카카오 O2O 사업부문 총괄>
아직 예측을 하기에는 섣부른 단계입니다. 기존에 어떻게 구성이 되어있는지 불명확한 영역에 대해서 하나하나 학습해나가면서 준비하다 보니 아직 부족한 부분이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부분을 채워나가는 것이 우선입니다. 기존에 카카오택시를 하면서 쌓은 다양한 경험과 지식, 역량들을 바탕으로 꾸준히 노력하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김영교 기자 / SBSCNBC>
카카오택시를 시작으로 카카오드라이버 등 교통 관련 서비스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카카오가 내세우고 있는 O2O(Online To Offline) 사업과 어떤 연관이 있을까요?

<정주환 부사장 / 카카오 O2O 사업부문 총괄>
대부분의 O2O 서비스는 해외에서도 우버나 중국의 디디처럼 결국 교통 영역에서의 출발했습니다. 교통은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이 모두 겪는 영역의 접점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완결된 사용자 경험과 정보를 제공해나가면 추가적으로 다른 영역에서도 연결해줄 수 있는 기회가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김영교 기자 / SBSCNBC>
앞으로도 교통 관련 서비스들이 더 출시할 계획입니까?

<정주환 부사장 / 카카오 O2O 사업부문 총괄>
카카오지하철, 카카오맵, 카카오주차 등 교통 관련 서비스를 추가적으로 준비하고 있으며 곧 만나보실 수 있을 겁니다.

<김영교 기자 / SBSCNBC>
그렇다면 교통 외에는 어떤 서비스를 계획하고 있습니까?

<정주환 부사장 / 카카오 O2O 사업부문 총괄>
좀 더 투명하고 합리적으로 편리하게 미용 서비스를 받고 싶어 하는 사용자와 미용실 점주들을 연결해주는 카카오헤어샵 서비스를 론칭할 예정입니다. 또 하나는 많은 직장인 여성이 공감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카카오홈클린이라는 가사 청소와 관련된 O2O 서비스를 하반기에 론칭할 예정입니다.

<김영교 기자 / SBSCNBC>
카카오드라이버를 통해서 카카오의 O2O 비전이 더 확장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카카오의 O2O 철학은 무엇입니까?

<정주환 부사장 / 카카오 O2O 사업부문 총괄>
가장 중요한 것은 O2O 서비스와 카카오가 생활 영역의 불편함을 어떻게 해결해줄 수 있느냐입니다. 또한 카카오의 철학은 O2O 서비스 영역의 종사자들도 결국은 카카오의 사용자라는 점입니다. 사용자가 카카오와 동참해서 같이 시장을 혁신하는 것이 카카오의 O2O철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김영교 기자 / SBSCNBC>
장기적으로 O2O사업이 해외에도 진출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정주환 부사장 / 카카오 O2O 사업부문 총괄>
새로운 시장에서 다양한 제안도 들어오고 저희도 탐색을 지속하면 기회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해외 진출에 대해서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앞으로 지속적으로 고민해볼 예정입니다.

<김영교 기자 / SBSCNBC>
부사장님, 오늘 시간 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정주환 부사장 / 카카오 O2O 사업부문 총괄>
감사합니다.

◇ In English

Q. Kakao has launched a new service, Kakao Driver. The move seems very ambitious. Please tell what this new service is about.

A. The idea of substitute driving is not a well known concept. Substitute driving is a unique industry that started in Korea in the center of Seoul where a demographic of 20 million people commute. In a situation where a person cannot drive after a business meeting that involves alcohol, it's a service which you can call up a driver on demand to take you home.

It started becoming more common in foreign countries as well. For example in China, a substitute driving service called "E-Taichi" has become very popular. In US, a service called "Designated Driver" has begun as well. So it's an industry that's being provided not only in Korea but in many other countries globally in various forms.

The project was set off from an idea thinking- how we could earnestly solve inconveniences in people's everyday lives. And the first project was 'Kakao Taxi' service that was launched last March. When you think about how people commute every day, discomfort continues to exist. From traffic conditions to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we always think about how we can offer better service.

So in the realm of resolving all kinds of inconveniences in traffic, 'Kakao Taxi,' 'Kakao Navi,' and 'Kakao Bus' was born. We realized that inconveniences and systematic irrationalities exist in the ordinary substitute driving industry. And we thought this sort of service is where we can best apply the know-hows that we accumulated from running 'Kakao Taxi'. So that's how we started our own substitute driving on demand project.

Q. As speculation about Kakao lauching a chauffeur service emerged, there were some conflicts with the existing chauffeur service companies. They claimed Kaka is hurting small businesses already in operation. How did you resolve the situation?

A. We don't think practitioners in this industry is not just service providers but also service users.  So as we work with the practitioners in the industry in this perspective, we make effort to continuously communicate and cooperate with various driver associations.

By operating a consultative body we continue to hear their voices. We don't think we are disrupting the existing market. Rather, we hope to expand the user base by getting rid of the existing inconveniences and mistrust with our service. In that position, we continue to communicate with the existing enterprises.

Q. I'm having a guess that Kakao Driver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Kakao's other services. What kind of services will be linked into Kakao Driver? And what is your thought on Kakao Driver's role in expanding other services?

A. Well it's basically a location based service. In various domains it's able to use the existing service and techniques that Kakao has accumulated from other products. Kakao Driver uses the technology from Kakao Navi which allows the user and the driver to find the accurate location to meet up using the map.

It also applied the technology from Daum map such as the navigation for walking directions. And in terms of payment, Kakao pay offers auto payment service which is the first of its kind in Korea. With the various technologies collected from many other KaKao brands, Kakao driver was born.

Q. Taxi hailing application Kakao Taxi was a huge success. I sometimes use it myself as well. Will Kakao Driver repeat the success?

A. It's hard to promise success at this early stage. We are getting to know about uncertain areas that haven't been explored yet. We do think there are areas that need to be developed. We don't want to rush into conclusion that this model is going to be successful.  As we make steady and persistent effort with the vast experience and knowledge gained from running Kakao Taxi, we do believe that we'll be able to bring good results.

Q. Kakao has launched a number of transportation related services, starting with Kakao Taxi. How is related to Kakao's quest to build up a offline-to-online, or O2O, business? Will there be more related services?

A. Well, most of the Online to Offline services.. as we observed are derived from transportation. Like Uber in the U.S and Didi in China. Since transportation involves various levels of age and various groups of people such as students and office workers, we think that it's an area where almost everyone experience in common.

So that's why transportation is an easy target for O2O service. As we provide information and provide full user experience in transportation, we think there will be many opportunities to provide additional services in other areas.

Q. Kakao Driver is seen as a starting point for Kakao to expand its O2O business. How is Kakao approaching the O2O business?

A. I briefly explained this concept in a larger frame. We think it's always important to start from the perspective of how KaKao or O2O services can eliminate many inconveniences that exist in our daily lives. I guess the other philosophical aspect that Kakao pursue is the thought that practitioners in this area are also our users.

So in a way, we are innovating this market along with the user's participation. I can say that the most important O2O philosophy that Kakao holds is this aspect. Innovating the market with the user's participation.

Q. In the long-term, is Kakao planning to bring these O2O services overseas?

A. When there are various offers in new markets globally and as we continue to navigate we think there will be opportunities in the future. We don't have detailed global expansion plans yet but we plan to examine various options continuously in the future.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영교다른기사
[오후토론] 강남 아파트값 다시 상승세…꿈틀대는 집값, 정부 대책은?
[증시초점] 코스피, 2100선 후퇴…외국인·기관 동반 매도에 하락 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