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eport] '포미족'을 잡아라…변화하는 시장
SBS Biz 전혜원
입력2016.05.12 11:36
수정2016.05.12 11:36
■ Korea Report
서울의 한 패스트푸드 매장입니다. 그런데 주문하는 방식이 조금 특별해 보입니다. 빵부터, 패티, 야채, 소스 등 24개 재료를 모두 고객이 직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조합하면 약 11,000개 가 넘는 각기 다른 햄버거를 만들 수 있는데요. 취향에 맞게 햄버거를 특별 제작하다 보니, 패스트푸드란 이름이 무색할 만큼 시간이 걸리기도 합니다.
[이효주 / 햄버거 주문 고객 : 치즈 종류가 많으니까 많은 종류를 치즈를 넣을 수 있고요. 매운 것 좋아하는 사람들은 매운 것들을 추가해 먹을 수 있는게 신기하고 좋더라고요.]
입맛대로 레시피를 선택할 수 있는 DIY 피자도 등장했습니다. 맞춤형 피자는 앱 출시 4개월 만에 주문 건수가 만 건을 넘길 만큼 인기입니다.
[이명희 / DIY피자 주문 고객 : 고기 위주의 토핑에다 파인애플 같은 단 과일을 올려서 맛있게 만들어 먹는 편이에요.]
커피 전문점에서도 고객 10명 중 4명이 맞춤 음료를 주문하는 추세입니다. 요즘 소비자들은 남들과 똑같은 메뉴 대신 오직 나만의 특별한 한 가지를 원합니다.
[박정운 교수 / 이화여대 경영학과 : 아주 단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서 아주 복잡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통을 하는 쪽으로 진화하는 거죠.
이러한 소비자들의 트렌드를 반영하지 못하는 업체는 도태될 수밖에 없는데요. 10년째 같은 메뉴를 고수하던 패밀리 레스토랑들이 최근 심각한 경영 악화를 겪는 것만 봐도 그렇습니다.
[고재윤 교수 / 경희대 외식경영학과 : 외국에 본사가 있는 패밀리레스토랑들이 국내 소비자의 요구를 따라가지 못하다 보니까 소비자들이 외면하게 되는 것이죠.]
이처럼 나만의 소비를 즐기는 이들이 늘면서 포미(FOR ME)족이라는 신조어도 생겨났습니다. 포미(FOR ME)란 건강(For health), 싱글족(One), 여가 (Recreation), 편의(More convenient), 고가(Expensive)의 앞글자를 따 만든 말인데요. 자신이 가치를 두는 상품은 아끼지 않고 구매하는 소비자를 가리킵니다.
[이솔 / 베네핏 홍보과장 : 아무리 좋은 것을 권하더라도 나에게 맞지 않다고 판단되면 설득하기 어려운 게 소비자들의 트렌드 인 것 같아요.]
포미족이 늘면서 업계 역시 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용과 패션 업계에서도 맞춤형 제품들이 속속 등장해 큰 인기를 얻고 있는데요. 70,80년대 기성복의 등장으로 쇠퇴했던 맞춤 양복도 제2의 전성기를 맞았습니다.
[박지현 / 패션 컨설턴트 : 내 체형에 대한 장점과 단점 등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진단을 통한 스마트한 쇼핑을 원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비자의 니즈에 맞춰, 핸드백 업체 쿠론은 커스터마이징 플랫폼을 오픈했는데요. 여성들이 직접 원하는 핸드백을 디자인하고 주문까지 할 수 있어, 호응이 높습니다.
[배윤주 / 직장인 : '내가 만든 가방이다'라는 생각 때문에 더 애착이 가는 것 같아요.]
향수도 마찬가지입니다. 남과 똑같은 향수가 아닌 나만의 향수를 만들어 주는 서비스가 인기입니다.
[한서연 / 서울 강남구 : 활발한 성격과 여성스러움 같은 걸 향수로 표현하고 싶었어요. 저만의 향수를 가질 수 있으니까 좋았던 것 같아요.]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정부는 관련 규제까지 완화하고 나섰습니다. 기존에는 즉석해서 화장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것이 불법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이 규제가 시범적으로 풀리면서 원하는 화장품을 즉석에서 주문-제조-구매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김승희 / 식품의약품안전처장 : 트렌드나 여러 가지 변화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규제를 완화해서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화장품 업계는 물론, 소비자들 역시 맞춤 화장품 시장이 열리는 것을 반기는 분위기입니다.
[전병염 / 아이랩 코스메틱 연구소장 : 맞춤형 화장품이 제조된다면 원가적인 경제성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신뢰감이 더욱 상승할 것으로 봅니다.]
[이신혜 / 서울 강남구 : 개인이 가진 피부 고민에 조금 더 집중해서 케어할 수 있을 듯해요 이러한 트렌드는 생활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건축업계도 예외는 아닌데요. 최근 분양하는 아파트들은 똑같은 구조대신, 취향에 따라 변경 가능한 설계를 경쟁력으로 내세웁니다.
[이현준 / 건설사 과장 : 맞춤형 공간이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가변적이고 기능성이 높고 확장성이 높은 공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또, 나만의 스타일로 집 꾸미기 열풍이 불면서 인테리어와 홈퍼니싱 시장도 급성장 중인데요. 통계청에 따르면 2008년 7조 원이던 홈퍼니싱 시장은 현재 약 12조 원, 2023년에는 18조 원까지 성장하리란 전망입니다. 관련 산업이 커지면서 국내 대형 유통업체들은 물론 글로벌 업체들까지 홈퍼니싱 시장에 뛰어드는 추세입니다.
[정해진 / H&M 코리아 홍보팀장 : 한국 소비자들이 패션에 민감하고 해외 직구와 여행을 통해 다양한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기 때문에 브랜드들이 앞다퉈 한국에 진출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나만의 화장품, 나만의 음식, 나만의 공간을 추구하는 소비자는 점점 늘고 있습니다. 소비자의 취향이 다양해질수록, 이를 충족시키려는 업체의 움직임은 더욱 바빠질 전망입니다.
◇ In English
Korean fast food restaurants have begun adapting new ways of receiving orders. It started to give their customers more choices. From bread to patties, vegetables and sauces, customers are allowed to choose from 24 different ingredients for their burgers. If you can do the math, one can actually make more than 11,000 different burgers.
Some of the Fast Food restaurants like MacDonalds Korea, have started to allow customers to design burgers to their taste as part of their new marketing strategy.
[Hyo Joo Lee / a customer at the restaurant : I like that I can actually choose more than one kind of cheeses in my burger. also cool that I can make my burger spicier that the usual ones.]
It's not just burger restaurants that's catching the Franchise Store trend. A Do-it- Yourself pizza is one of the most popular orders at Dominos Korea. After its launch four months ago, the DIY pizza has hit a record number of 10,000 orders.
[Myoung Hee Lee / a customer at Dominos Korea : I like adding more meat to my pizza and some pineapples and other fruits.]
According to Starbucks Korea, 4 out of 10 customers order customized coffees. Franchise stores have started noticing that today's customers in Korea tend to prefer a menu tailored to their taste.
[Jung Woon Park / Ewha Women's University Professor : The industry is evolving to provide more delicate and complicated services to their customers from just delivering a fixed menu.]
Foreign franchise restaurants that weren't able to serve the customers need for DIY menus have been experiencing financial difficulty. Steakhouse have been seeing a yearly decrease in profit since 2013. This year their sales before tax have decreased to 202 billion won from 250 billion won last year.
[Jai Yoon Goh / Kyunghee University Foods Management Professor : Basically, customers have started turning away from the family restaurants because they weren't able to understand the Customers need for new menus.]
Industry professionals in Korea have started calling this new class of customers as the FOR ME group. FOR ME is a word created from the first English letters of these words : For Health, One, Recreation, More Convenient, and Expensive.
It describes the group of customers who are willing to spend more money for a product they value.
[Sol Lee / Benefit Marketing Director : It has become more difficult to persuade customers to buy something that doesn't fit into each individual's taste.]
Other sectors in the industry have also been moving fast to meet the Korean customers new desire. The beauty and fashions industry especially have been introducing more tailored products for its customers. Tailor shops in Korea recently have become increasingly popular.
[Ji Hyun Park / Fashion Consultant : Shoppers here come ask for professional opinions on how they can make some part of their body look better with tailored clothes.]
Kolon, a clothes and handbags brand in Korea, recently launched a new line of handbags called COURONNE. Customers are allowed to orders handbags of their own design.
[Yoon Ju Baek / an Office Worker : A bag just for myself. I feel more attached to this bag because I made it.]
Perfumes are no exceptions. A store that makes a unique perfume for every customers is also very popular.
[Suh Yeon Han / Customer at the perfume shop : I wanted to make a perfume that can express my outgoing personality as well as sort of a ladylike look. I enjoyed that I can design a perfume just for myself.]
The Korean government also helped industries to catch up on the trend by alleviating related laws. In March this year,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llowed merchandisers to sell beauty products made on the spot. Merchandisers are now allowed to receive, produce and sell orders right on the spot. Female customers seems to welcome the customized beauty market.
[Byoung Yeom Chun / I-Lab Cosmetics Research Head : When a customized beauty product line is launched customers will be allowed to know what the prime cost of the product on the spot which will help us gain trust from our customers.]
[Shin Hae Lee / Product User : I'll be able to narrow down and focus my skin care to needs that are more personal to me.]
Apartment buildings are also trying to meet with customer's unique taste. Instead of selling apartments with the same interior design, more construction firms have been promoting individualized apartment buildings to their customers.
[Hyung Joon Lee/ Hilstate Constructions Management Head : Customized space is now possible. A transformable and expandable space is provided to our customers.]
With DIY interior boom, the home furnishing market have seem a rapid growth recently.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Office of Korea, home furnishing market that was as big as 7 trillion won in 2008 has increased to 12 trillion won.
Market professionals view that home furnishing market will increase to 18 trillion won in 2023. As the market grows, international home furnishing brands such as IKEA have been jumping on the Korean home furnishing market.
[Hae Jin Jung / H&M Korea Marketing Director : Since Korean customers are very sensitive to their fashion style, more foreign brands are interested in entering the Korean market.]
The demand for a customized beauty product, food and space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the industry will move faster to adapt to customers changing taste.
서울의 한 패스트푸드 매장입니다. 그런데 주문하는 방식이 조금 특별해 보입니다. 빵부터, 패티, 야채, 소스 등 24개 재료를 모두 고객이 직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조합하면 약 11,000개 가 넘는 각기 다른 햄버거를 만들 수 있는데요. 취향에 맞게 햄버거를 특별 제작하다 보니, 패스트푸드란 이름이 무색할 만큼 시간이 걸리기도 합니다.
[이효주 / 햄버거 주문 고객 : 치즈 종류가 많으니까 많은 종류를 치즈를 넣을 수 있고요. 매운 것 좋아하는 사람들은 매운 것들을 추가해 먹을 수 있는게 신기하고 좋더라고요.]
입맛대로 레시피를 선택할 수 있는 DIY 피자도 등장했습니다. 맞춤형 피자는 앱 출시 4개월 만에 주문 건수가 만 건을 넘길 만큼 인기입니다.
[이명희 / DIY피자 주문 고객 : 고기 위주의 토핑에다 파인애플 같은 단 과일을 올려서 맛있게 만들어 먹는 편이에요.]
커피 전문점에서도 고객 10명 중 4명이 맞춤 음료를 주문하는 추세입니다. 요즘 소비자들은 남들과 똑같은 메뉴 대신 오직 나만의 특별한 한 가지를 원합니다.
[박정운 교수 / 이화여대 경영학과 : 아주 단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서 아주 복잡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통을 하는 쪽으로 진화하는 거죠.
이러한 소비자들의 트렌드를 반영하지 못하는 업체는 도태될 수밖에 없는데요. 10년째 같은 메뉴를 고수하던 패밀리 레스토랑들이 최근 심각한 경영 악화를 겪는 것만 봐도 그렇습니다.
[고재윤 교수 / 경희대 외식경영학과 : 외국에 본사가 있는 패밀리레스토랑들이 국내 소비자의 요구를 따라가지 못하다 보니까 소비자들이 외면하게 되는 것이죠.]
이처럼 나만의 소비를 즐기는 이들이 늘면서 포미(FOR ME)족이라는 신조어도 생겨났습니다. 포미(FOR ME)란 건강(For health), 싱글족(One), 여가 (Recreation), 편의(More convenient), 고가(Expensive)의 앞글자를 따 만든 말인데요. 자신이 가치를 두는 상품은 아끼지 않고 구매하는 소비자를 가리킵니다.
[이솔 / 베네핏 홍보과장 : 아무리 좋은 것을 권하더라도 나에게 맞지 않다고 판단되면 설득하기 어려운 게 소비자들의 트렌드 인 것 같아요.]
포미족이 늘면서 업계 역시 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용과 패션 업계에서도 맞춤형 제품들이 속속 등장해 큰 인기를 얻고 있는데요. 70,80년대 기성복의 등장으로 쇠퇴했던 맞춤 양복도 제2의 전성기를 맞았습니다.
[박지현 / 패션 컨설턴트 : 내 체형에 대한 장점과 단점 등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진단을 통한 스마트한 쇼핑을 원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비자의 니즈에 맞춰, 핸드백 업체 쿠론은 커스터마이징 플랫폼을 오픈했는데요. 여성들이 직접 원하는 핸드백을 디자인하고 주문까지 할 수 있어, 호응이 높습니다.
[배윤주 / 직장인 : '내가 만든 가방이다'라는 생각 때문에 더 애착이 가는 것 같아요.]
향수도 마찬가지입니다. 남과 똑같은 향수가 아닌 나만의 향수를 만들어 주는 서비스가 인기입니다.
[한서연 / 서울 강남구 : 활발한 성격과 여성스러움 같은 걸 향수로 표현하고 싶었어요. 저만의 향수를 가질 수 있으니까 좋았던 것 같아요.]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정부는 관련 규제까지 완화하고 나섰습니다. 기존에는 즉석해서 화장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것이 불법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이 규제가 시범적으로 풀리면서 원하는 화장품을 즉석에서 주문-제조-구매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김승희 / 식품의약품안전처장 : 트렌드나 여러 가지 변화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규제를 완화해서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화장품 업계는 물론, 소비자들 역시 맞춤 화장품 시장이 열리는 것을 반기는 분위기입니다.
[전병염 / 아이랩 코스메틱 연구소장 : 맞춤형 화장품이 제조된다면 원가적인 경제성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신뢰감이 더욱 상승할 것으로 봅니다.]
[이신혜 / 서울 강남구 : 개인이 가진 피부 고민에 조금 더 집중해서 케어할 수 있을 듯해요 이러한 트렌드는 생활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건축업계도 예외는 아닌데요. 최근 분양하는 아파트들은 똑같은 구조대신, 취향에 따라 변경 가능한 설계를 경쟁력으로 내세웁니다.
[이현준 / 건설사 과장 : 맞춤형 공간이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가변적이고 기능성이 높고 확장성이 높은 공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또, 나만의 스타일로 집 꾸미기 열풍이 불면서 인테리어와 홈퍼니싱 시장도 급성장 중인데요. 통계청에 따르면 2008년 7조 원이던 홈퍼니싱 시장은 현재 약 12조 원, 2023년에는 18조 원까지 성장하리란 전망입니다. 관련 산업이 커지면서 국내 대형 유통업체들은 물론 글로벌 업체들까지 홈퍼니싱 시장에 뛰어드는 추세입니다.
[정해진 / H&M 코리아 홍보팀장 : 한국 소비자들이 패션에 민감하고 해외 직구와 여행을 통해 다양한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기 때문에 브랜드들이 앞다퉈 한국에 진출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나만의 화장품, 나만의 음식, 나만의 공간을 추구하는 소비자는 점점 늘고 있습니다. 소비자의 취향이 다양해질수록, 이를 충족시키려는 업체의 움직임은 더욱 바빠질 전망입니다.
◇ In English
Korean fast food restaurants have begun adapting new ways of receiving orders. It started to give their customers more choices. From bread to patties, vegetables and sauces, customers are allowed to choose from 24 different ingredients for their burgers. If you can do the math, one can actually make more than 11,000 different burgers.
Some of the Fast Food restaurants like MacDonalds Korea, have started to allow customers to design burgers to their taste as part of their new marketing strategy.
[Hyo Joo Lee / a customer at the restaurant : I like that I can actually choose more than one kind of cheeses in my burger. also cool that I can make my burger spicier that the usual ones.]
It's not just burger restaurants that's catching the Franchise Store trend. A Do-it- Yourself pizza is one of the most popular orders at Dominos Korea. After its launch four months ago, the DIY pizza has hit a record number of 10,000 orders.
[Myoung Hee Lee / a customer at Dominos Korea : I like adding more meat to my pizza and some pineapples and other fruits.]
According to Starbucks Korea, 4 out of 10 customers order customized coffees. Franchise stores have started noticing that today's customers in Korea tend to prefer a menu tailored to their taste.
[Jung Woon Park / Ewha Women's University Professor : The industry is evolving to provide more delicate and complicated services to their customers from just delivering a fixed menu.]
Foreign franchise restaurants that weren't able to serve the customers need for DIY menus have been experiencing financial difficulty. Steakhouse have been seeing a yearly decrease in profit since 2013. This year their sales before tax have decreased to 202 billion won from 250 billion won last year.
[Jai Yoon Goh / Kyunghee University Foods Management Professor : Basically, customers have started turning away from the family restaurants because they weren't able to understand the Customers need for new menus.]
Industry professionals in Korea have started calling this new class of customers as the FOR ME group. FOR ME is a word created from the first English letters of these words : For Health, One, Recreation, More Convenient, and Expensive.
It describes the group of customers who are willing to spend more money for a product they value.
[Sol Lee / Benefit Marketing Director : It has become more difficult to persuade customers to buy something that doesn't fit into each individual's taste.]
Other sectors in the industry have also been moving fast to meet the Korean customers new desire. The beauty and fashions industry especially have been introducing more tailored products for its customers. Tailor shops in Korea recently have become increasingly popular.
[Ji Hyun Park / Fashion Consultant : Shoppers here come ask for professional opinions on how they can make some part of their body look better with tailored clothes.]
Kolon, a clothes and handbags brand in Korea, recently launched a new line of handbags called COURONNE. Customers are allowed to orders handbags of their own design.
[Yoon Ju Baek / an Office Worker : A bag just for myself. I feel more attached to this bag because I made it.]
Perfumes are no exceptions. A store that makes a unique perfume for every customers is also very popular.
[Suh Yeon Han / Customer at the perfume shop : I wanted to make a perfume that can express my outgoing personality as well as sort of a ladylike look. I enjoyed that I can design a perfume just for myself.]
The Korean government also helped industries to catch up on the trend by alleviating related laws. In March this year,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llowed merchandisers to sell beauty products made on the spot. Merchandisers are now allowed to receive, produce and sell orders right on the spot. Female customers seems to welcome the customized beauty market.
[Byoung Yeom Chun / I-Lab Cosmetics Research Head : When a customized beauty product line is launched customers will be allowed to know what the prime cost of the product on the spot which will help us gain trust from our customers.]
[Shin Hae Lee / Product User : I'll be able to narrow down and focus my skin care to needs that are more personal to me.]
Apartment buildings are also trying to meet with customer's unique taste. Instead of selling apartments with the same interior design, more construction firms have been promoting individualized apartment buildings to their customers.
[Hyung Joon Lee/ Hilstate Constructions Management Head : Customized space is now possible. A transformable and expandable space is provided to our customers.]
With DIY interior boom, the home furnishing market have seem a rapid growth recently.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Office of Korea, home furnishing market that was as big as 7 trillion won in 2008 has increased to 12 trillion won.
Market professionals view that home furnishing market will increase to 18 trillion won in 2023. As the market grows, international home furnishing brands such as IKEA have been jumping on the Korean home furnishing market.
[Hae Jin Jung / H&M Korea Marketing Director : Since Korean customers are very sensitive to their fashion style, more foreign brands are interested in entering the Korean market.]
The demand for a customized beauty product, food and space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the industry will move faster to adapt to customers changing taste.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내 계좌가 보이스피싱에?..."사전 차단 하세요" [2025 금감원]
- 2.추석 땐 최장 10일 쉰다?…비행기표 끊으려다 '화들짝'
- 3.'17억 갑자기 생겼다'…50% 성과급에 로또까지 누구일까?
- 4.보면 무조건 사…편의점에서 사라진 '불닭'
- 5."'어르신 운전중' 표지 붙였더니, 어떤 변화가?
- 6.성과급 1500% 전국민 부러워한 이 회사, 자사주 30주 더 준다
- 7.美 배당주로 노후준비 미당족 '날벼락'…분노 커지자 결국
- 8.입주 앞두고 이런 날벼락…GS건설 '열쇠 못 준다 왜?'
- 9.'월세가 만원 한장 실화냐?'...여기선 실화야
- 10.국민연금 얼마내고 얼마 받나…모수개혁 뭐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