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소셜커머스에서 팔린 '고가'백…'짝퉁' 논란
SBS Biz 김날해
입력2015.07.15 17:35
수정2015.07.15 17:35
<앵커>
국내 한 소셜커머스에서 판매된 유명 고가백을 둘러싸고 가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민원이 잇따르자 해당 소셜커머스 측은 일단 이 제품의 판매를 중단했습니다.
김날해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얼마 전 김 모 씨는 국내 한 소셜커머스에서 이른바 해외 명품가방을 2백만 원 정도에 구입했습니다.
그런데, 같은 가방을 가진 친구의 것과 비교하는 과정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김연지 (가명) / 가방구매자 : 근데 뭐가 막 틀린 거예요. 자크 부분부터 몇 가지가 그날 이후 들고 다니지 않습니다.]
김 씨는 가방의 진품 여부를 해당 브랜드 한국지사에 요청했지만, 거절당했습니다.
병행수입품에 대한 감정은 해 줄 수 없다는 것이 이유였습니다.
취재진은 복수의 민간 감정업체에 진품 여부를 의뢰했습니다.
[민간감정사 A : 가짜예요. 지퍼도 가죽도 가짜고 로고도 다 가짜입니다. 이건 가죽이 아니고 합피예요. 녹이면 다 녹아요. 이게 한글 글씨가 제대로 돼 있는지 보세요.]
[민간감정사 B : 프라다 로고도 P자가 이렇게 튀어나와 있어야…가품은 글자가 안 선명하고 주변도 눌려있잖아요.]
소셜커머스 측은 그러나 병행수입업자가 관세청 산하 협회에 의뢰해 상표권자로부터 정품 확인 감정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럼에도 진품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일자 며칠 전부터 해당 제품의 판매를 중단했습니다.
[소셜커머스관계자 : 의혹을 제기하는 고객님이 계시는 상황이어서 절차에 따라 판매를 중단하고 추가확인을 하고 있습니다.]
한 달 정도 판매가 이뤄지는 동안 해당 사이트에는 김 씨처럼 진품이 아닌 것 같다는 의심의 글이 이어졌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해당 제품을 공급한 병행 수입업체는 공식적인 해명을 피했습니다.
[병행수입업체 대표 (상품공급자) : 그거 저한테 물어보지 마세요. 협회에 공식적으로 문의하세요.]
제품을 보증해 준 관세청 산하협회는 판매 전에 실시한 샘플 감정결과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민원이 발생한 만큼 다른 제품에도 추가 감정을 벌이겠다고 말했습니다.
가짜 의혹이 제기된 고가의 유명 가방은 두 종류로 그동안 얼마나 팔렸는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이런 논란 속에 이 소셜커머스에서 해당 제품을 산 소비자는 지난주에 소셜커머스 측과 병행수입업자를 검찰에 고발했습니다.
SBSCNBC 김날해입니다.
<앵커>
논란이 된 제품은 관세청이 가짜를 걸러내겠다며 도입한 통관인증인 QR코드를 받은 제품입니다.
일각에서 QR코드가 제 역할을 못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어떻게 발급되고, 관리되고 있는지 조슬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소비자들이 병행수입제품 구입을 망설이는 가장 큰 이유는 내가 산 물건이 가짜일지도 모른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이민주 / 서울 종로구 :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확인할 방법이 별로 없는 것 같아요. (물건이) 진짜인지 아닌지…]
그래서 도입된 게 QR코드 방식을 이용한 관세청의 병행수입제품 통관인증 서비스 제도입니다.
정상적인 절차를 거쳐 수입됐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겠다는 취지입니다.
그런데 통관인증, 일명 QR코드에는 누가 수입했고 제품의 이름이 무엇이며, 물건이 세관을 언제 통과했는지의 정보만 담겨 있을 뿐, 정작 가장 중요한 진품인지 아닌지 판단할 정보는 담겨있지 않습니다.
더구나 이 스티커를 물건에 붙이는 주체가 바로 수입업자 스스로입니다.
[병행수입업자 : 수입되지 않은 가품에다 이걸 꽂아도 소비자들은 이게 적법하게 통관이 됐다고 생각할 수 있죠.]
가짜 제품을 걸러내기 위한 사후 단속도 허술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대부분의 현장 단속이 사전 예고제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권혁규 / 무역관련지식재산권보호협회(TIPA) 팀장 : 현장 심사는 업체와 일정을 잡고 가죠. QR코드를 받은 물건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래서 맘만 먹으면 이런 식의 대응이 가능하다는 얘기입니다.
[병행수입업자: (근데 왜 (단속에) 안 걸리는 거죠?) 짝퉁이라면 어디다 감춰놓죠. 무작위로 가져가는 게 아니고 (네?) 저희가 내주는 걸 가져가죠.]
관세청은 이 같은 문제 제기에 대해 현재 보안책을 고민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병행수입 활성화는 제품 선택의 폭을 넓히고 가격 경쟁을 유도해 소비자 주권을 확보하겠다며 지난 2013년 이후 관세청이 주도적으로 추진해 온 정책입니다.
추진 초기부터 선결 과제로 제시된 것이 진품으로서의 신뢰성이었습니다.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소비자의 주권 확대를 명분으로 추진돼 온 병행수입 활성화 정책이 정작 소비자로부터 외면받는 허울만 좋은 탁상행정이 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SBSCNBC 조슬기입니다.
▶ 해외투자 커뮤니티 <머니로켓> 바로가기
국내 한 소셜커머스에서 판매된 유명 고가백을 둘러싸고 가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민원이 잇따르자 해당 소셜커머스 측은 일단 이 제품의 판매를 중단했습니다.
김날해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얼마 전 김 모 씨는 국내 한 소셜커머스에서 이른바 해외 명품가방을 2백만 원 정도에 구입했습니다.
그런데, 같은 가방을 가진 친구의 것과 비교하는 과정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김연지 (가명) / 가방구매자 : 근데 뭐가 막 틀린 거예요. 자크 부분부터 몇 가지가 그날 이후 들고 다니지 않습니다.]
김 씨는 가방의 진품 여부를 해당 브랜드 한국지사에 요청했지만, 거절당했습니다.
병행수입품에 대한 감정은 해 줄 수 없다는 것이 이유였습니다.
취재진은 복수의 민간 감정업체에 진품 여부를 의뢰했습니다.
[민간감정사 A : 가짜예요. 지퍼도 가죽도 가짜고 로고도 다 가짜입니다. 이건 가죽이 아니고 합피예요. 녹이면 다 녹아요. 이게 한글 글씨가 제대로 돼 있는지 보세요.]
[민간감정사 B : 프라다 로고도 P자가 이렇게 튀어나와 있어야…가품은 글자가 안 선명하고 주변도 눌려있잖아요.]
소셜커머스 측은 그러나 병행수입업자가 관세청 산하 협회에 의뢰해 상표권자로부터 정품 확인 감정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럼에도 진품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일자 며칠 전부터 해당 제품의 판매를 중단했습니다.
[소셜커머스관계자 : 의혹을 제기하는 고객님이 계시는 상황이어서 절차에 따라 판매를 중단하고 추가확인을 하고 있습니다.]
한 달 정도 판매가 이뤄지는 동안 해당 사이트에는 김 씨처럼 진품이 아닌 것 같다는 의심의 글이 이어졌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해당 제품을 공급한 병행 수입업체는 공식적인 해명을 피했습니다.
[병행수입업체 대표 (상품공급자) : 그거 저한테 물어보지 마세요. 협회에 공식적으로 문의하세요.]
제품을 보증해 준 관세청 산하협회는 판매 전에 실시한 샘플 감정결과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민원이 발생한 만큼 다른 제품에도 추가 감정을 벌이겠다고 말했습니다.
가짜 의혹이 제기된 고가의 유명 가방은 두 종류로 그동안 얼마나 팔렸는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이런 논란 속에 이 소셜커머스에서 해당 제품을 산 소비자는 지난주에 소셜커머스 측과 병행수입업자를 검찰에 고발했습니다.
SBSCNBC 김날해입니다.
<앵커>
논란이 된 제품은 관세청이 가짜를 걸러내겠다며 도입한 통관인증인 QR코드를 받은 제품입니다.
일각에서 QR코드가 제 역할을 못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어떻게 발급되고, 관리되고 있는지 조슬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소비자들이 병행수입제품 구입을 망설이는 가장 큰 이유는 내가 산 물건이 가짜일지도 모른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이민주 / 서울 종로구 :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확인할 방법이 별로 없는 것 같아요. (물건이) 진짜인지 아닌지…]
그래서 도입된 게 QR코드 방식을 이용한 관세청의 병행수입제품 통관인증 서비스 제도입니다.
정상적인 절차를 거쳐 수입됐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겠다는 취지입니다.
그런데 통관인증, 일명 QR코드에는 누가 수입했고 제품의 이름이 무엇이며, 물건이 세관을 언제 통과했는지의 정보만 담겨 있을 뿐, 정작 가장 중요한 진품인지 아닌지 판단할 정보는 담겨있지 않습니다.
더구나 이 스티커를 물건에 붙이는 주체가 바로 수입업자 스스로입니다.
[병행수입업자 : 수입되지 않은 가품에다 이걸 꽂아도 소비자들은 이게 적법하게 통관이 됐다고 생각할 수 있죠.]
가짜 제품을 걸러내기 위한 사후 단속도 허술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대부분의 현장 단속이 사전 예고제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권혁규 / 무역관련지식재산권보호협회(TIPA) 팀장 : 현장 심사는 업체와 일정을 잡고 가죠. QR코드를 받은 물건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래서 맘만 먹으면 이런 식의 대응이 가능하다는 얘기입니다.
[병행수입업자: (근데 왜 (단속에) 안 걸리는 거죠?) 짝퉁이라면 어디다 감춰놓죠. 무작위로 가져가는 게 아니고 (네?) 저희가 내주는 걸 가져가죠.]
관세청은 이 같은 문제 제기에 대해 현재 보안책을 고민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병행수입 활성화는 제품 선택의 폭을 넓히고 가격 경쟁을 유도해 소비자 주권을 확보하겠다며 지난 2013년 이후 관세청이 주도적으로 추진해 온 정책입니다.
추진 초기부터 선결 과제로 제시된 것이 진품으로서의 신뢰성이었습니다.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소비자의 주권 확대를 명분으로 추진돼 온 병행수입 활성화 정책이 정작 소비자로부터 외면받는 허울만 좋은 탁상행정이 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SBSCNBC 조슬기입니다.
▶ 해외투자 커뮤니티 <머니로켓> 바로가기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대학 붙어 한시름 놨더니"...부모님들 이 소식에 '한숨'
- 2."한국인이세요?" 태도 180도 돌변…여권파워 세계 3위
- 3.설 황금 연휴 엿새 쉬나…또 내수부양 단골카드?
- 4.65세가 노인?…75세로 상향 추진
- 5.설 여행경비 40만원 쏩니다…역귀성 최대 40% 할인
- 6.믿고 샀는데 짝퉁?…이마트, 전액환불 무슨 일?
- 7.'남 일 아니네'…中 BYD 日서 도요타 첫 추월
- 8.'임영웅 콘서트 돈 안 아까워요'…어느 새 소비 큰 손 5060
- 9.'35% 싸다' 온누리상품권 먹통…소비자는 분통
- 10.月 437만원 벌고 고급차 모는 노인도 기초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