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적 책임은 3600원짜리?…카드3사 문자서비스 유료 전환
SBS Biz 우형준
입력2015.03.02 20:53
수정2015.03.02 20:53
<앵커>
지난해 1월이었죠.
KB와 농협, 롯데 이들 카드 3사에서 1억 건이 넘는 고객정보가 유출됐습니다.
이 사고 이후 카드사들은 결제 문자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해 왔었는데, 오늘부터 일제히 유료로 전환됐습니다.
결국, 도의적 책임을 마무리한 셈인데 이번에도 이렇게 실질적인 보상 없이 유야무야 끝나는 건가 싶습니다.
우형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도난당한 고객 정보는 1억400만 건에 달합니다.
해당 카드사 CEO들은 옷을 벗었고, 회사는 3개월의 영업정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정작 직접적 피해자인 고객에 대한 실질적 보상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7만여 명의 피해자가 낸 소송도 좀처럼 진도가 나가지 않고 있습니다.
[김종수 / 변호사 : 수만 명에 이르는 원고들이 정보유출의 피해자인지 여부와 재산적 손해배상에 대한 입증 때문에 소송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소송이 장기간 지연되면 불법행위 소멸시효(3년)이 완성되어 나머지 피해자들이 손해배상이 불가능해질 것으로 (우려 됩니다.)]
빠져나간 정보가 어떻게 악용돼 어떤 피해를 입었다는 것을 고객이 입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카드사들이 고객정보를 잘못 관리한 것에 대한 1차적 책임은 면제되는 셈입니다.
문제는 다양한 금융사기 수법을 놓고 볼 때, 빠져나간 고객 정보가 언제? 어떻게? 악용될지를 고객 스스로 알기란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입니다.
[오애진 / 대학생 : 불안한 거 같아요. 또 요새는 교묘하게 문자나 보이스 피싱 같은 것들이 와서 저도 모르게 당할 수도 있는 거니까…]
실제 해마다 이어지는 대책에도 금융사기 피해는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금융사의 개인정보 관리 책임 나아가 금융사기 피해에 보상 방식을 소극적인 방식에서 적극적인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영환 / 건국대 금융IT학과 교수 : (카드3사가) 무한책임을 져야 된다는 그런 개념을 갖고 접근해야(됩니다.) 특히 미국의 경우는 일단 모든 것에 대해서 책임을 지고 금융사고가 있었으면 일단 배상을 해주고 나서 금융사가 나중에 잘못이 없었다고 증명하는 시스템이거든요.]
1년 전 사고 발생 이후 대책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집단소송과 징벌적 손해배상 등 금융사의 책임을 강화하는 또 다른 대안들이 거론됐지만, 현실론을 앞세운 논리에 이 역시 무산됐습니다.
SBSCNBC 우형준입니다.
지난해 1월이었죠.
KB와 농협, 롯데 이들 카드 3사에서 1억 건이 넘는 고객정보가 유출됐습니다.
이 사고 이후 카드사들은 결제 문자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해 왔었는데, 오늘부터 일제히 유료로 전환됐습니다.
결국, 도의적 책임을 마무리한 셈인데 이번에도 이렇게 실질적인 보상 없이 유야무야 끝나는 건가 싶습니다.
우형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도난당한 고객 정보는 1억400만 건에 달합니다.
해당 카드사 CEO들은 옷을 벗었고, 회사는 3개월의 영업정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정작 직접적 피해자인 고객에 대한 실질적 보상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7만여 명의 피해자가 낸 소송도 좀처럼 진도가 나가지 않고 있습니다.
[김종수 / 변호사 : 수만 명에 이르는 원고들이 정보유출의 피해자인지 여부와 재산적 손해배상에 대한 입증 때문에 소송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소송이 장기간 지연되면 불법행위 소멸시효(3년)이 완성되어 나머지 피해자들이 손해배상이 불가능해질 것으로 (우려 됩니다.)]
빠져나간 정보가 어떻게 악용돼 어떤 피해를 입었다는 것을 고객이 입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카드사들이 고객정보를 잘못 관리한 것에 대한 1차적 책임은 면제되는 셈입니다.
문제는 다양한 금융사기 수법을 놓고 볼 때, 빠져나간 고객 정보가 언제? 어떻게? 악용될지를 고객 스스로 알기란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입니다.
[오애진 / 대학생 : 불안한 거 같아요. 또 요새는 교묘하게 문자나 보이스 피싱 같은 것들이 와서 저도 모르게 당할 수도 있는 거니까…]
실제 해마다 이어지는 대책에도 금융사기 피해는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금융사의 개인정보 관리 책임 나아가 금융사기 피해에 보상 방식을 소극적인 방식에서 적극적인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영환 / 건국대 금융IT학과 교수 : (카드3사가) 무한책임을 져야 된다는 그런 개념을 갖고 접근해야(됩니다.) 특히 미국의 경우는 일단 모든 것에 대해서 책임을 지고 금융사고가 있었으면 일단 배상을 해주고 나서 금융사가 나중에 잘못이 없었다고 증명하는 시스템이거든요.]
1년 전 사고 발생 이후 대책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집단소송과 징벌적 손해배상 등 금융사의 책임을 강화하는 또 다른 대안들이 거론됐지만, 현실론을 앞세운 논리에 이 역시 무산됐습니다.
SBSCNBC 우형준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삼성전자 연봉이 무려
- 2.이재용 보다 주식 재산 많다는 '이 사람'…재산 얼마?
- 3."노는 사람 없어요" 고용률 80% 넘는 지역 어디?
- 4.'믿고 기다린 사람만 바보됐다'…신혼부부 땅 치는 이유
- 5.삼성생명 100주 있으면, 배당금 45만원 꽂힌다
- 6.'짝퉁 포르쉐?' 조롱했는데…포르쉐 中서 속수무책
- 7.'남아도는 철판, 한국에 싸게 팔아먹자'…결국 결단
- 8.집 있어도 은행서 돈 빌릴 수 있다…이 은행만 '아직'
- 9.'돌반지 지금 팔지 마세요'…금값 더 오른다 얼마?
- 10.국민연금 '내는 돈' 13%로 올린다…'소득대체율' 진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