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렉서블 OLED 상용화 임박…'아이컴포넌트' 웃을까?
SBS Biz
입력2013.08.08 16:06
수정2013.08.08 16:13
■ 종가공략주 - 이득호 한국밸류21 대표
오늘 종가공략주는 아이컴포넌트이다. 아이컴포넌트는 삼성전자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용화 가능성으로 인해 향후 실적이 기대된다.
◇ 플렉서블 OLED 상용화 임박
다음달 삼성전자가 공개한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스마트 워치인 '갤럭시 기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것이라는 소식에 영향을 받는 모습이다. 다음달 4일 베를린 가전 전시회에서 차기 신제품 발표를 진행한다고 하는데, 특허출원 내용을 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번 분기 이후 OLED 주요 이슈로 플렉서블 OLED 상용화와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의 OLED 투자를 예상하는 관련 뉴스들이 나오고 있다. 이미 삼성은 6조원 가량 디스플레이에 투자한다는 소식도 나온 상황인데, 일단 IT 기업인 삼성의 공격적인 투자 자체가 다른 기업들의 투자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관련 업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 IT부품주, 저가메리트 부각 시점
삼성 외에도 LG디스플레이가 3분기 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이런 점까지 호재로 작용한다고 했을 때는 관련주인 상보, 테라세미콘, 에스티아이와 더불어 동반 강세가 나올 수 있는 중기적으로도 좋은 종목이다. 최근 IT부품들이 삼성전자 여파로 인해 많이 하락한 상황인데, 2분기 실적 기대감과 맞물리면서 저가메리트가 부각되는 시점이기 때문에, IT부품주들이 상당히 많지만 플렉서블에 우선 순위를 두고 싶다.
◇ 아이컴포넌트, 실적 개선 기대감
실적 측면에서 현재 적자 전환한 상황인데, 현재보다는 플렉서블이 적용 가능한 시기부터의 실적 개선이 예상되는, 미래가 기대되는 종목이다. 최근 이 종목의 신용이 10% 까지 증가하면서 이슈가 된 적이 있었는데, 시장이 6월에 급락하기 시작하면서 13,000원대부터 9,700원대까지 30% 가까이 하락했다. 현재 가격부터는 서서히 분할매수하는 전략이 좋다고 본다. 손절가는 10,350원이다. 저점을 높이고 고점을 낮추는 기술적 흐름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전저점인 10,350원 이탈 시 손절하는 것으로 하자. 목표가는 강한 저항벽이 형성되어 있는 12,000원 부근, 비중은 20% 제시한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종가공략주는 아이컴포넌트이다. 아이컴포넌트는 삼성전자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용화 가능성으로 인해 향후 실적이 기대된다.
◇ 플렉서블 OLED 상용화 임박
다음달 삼성전자가 공개한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스마트 워치인 '갤럭시 기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것이라는 소식에 영향을 받는 모습이다. 다음달 4일 베를린 가전 전시회에서 차기 신제품 발표를 진행한다고 하는데, 특허출원 내용을 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번 분기 이후 OLED 주요 이슈로 플렉서블 OLED 상용화와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의 OLED 투자를 예상하는 관련 뉴스들이 나오고 있다. 이미 삼성은 6조원 가량 디스플레이에 투자한다는 소식도 나온 상황인데, 일단 IT 기업인 삼성의 공격적인 투자 자체가 다른 기업들의 투자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관련 업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 IT부품주, 저가메리트 부각 시점
삼성 외에도 LG디스플레이가 3분기 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이런 점까지 호재로 작용한다고 했을 때는 관련주인 상보, 테라세미콘, 에스티아이와 더불어 동반 강세가 나올 수 있는 중기적으로도 좋은 종목이다. 최근 IT부품들이 삼성전자 여파로 인해 많이 하락한 상황인데, 2분기 실적 기대감과 맞물리면서 저가메리트가 부각되는 시점이기 때문에, IT부품주들이 상당히 많지만 플렉서블에 우선 순위를 두고 싶다.
◇ 아이컴포넌트, 실적 개선 기대감
실적 측면에서 현재 적자 전환한 상황인데, 현재보다는 플렉서블이 적용 가능한 시기부터의 실적 개선이 예상되는, 미래가 기대되는 종목이다. 최근 이 종목의 신용이 10% 까지 증가하면서 이슈가 된 적이 있었는데, 시장이 6월에 급락하기 시작하면서 13,000원대부터 9,700원대까지 30% 가까이 하락했다. 현재 가격부터는 서서히 분할매수하는 전략이 좋다고 본다. 손절가는 10,350원이다. 저점을 높이고 고점을 낮추는 기술적 흐름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전저점인 10,350원 이탈 시 손절하는 것으로 하자. 목표가는 강한 저항벽이 형성되어 있는 12,000원 부근, 비중은 20% 제시한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금값 끝없이 오르는데…쳐다도 안보는 한국은행, 왜?
- 2.[단독] 네이버, 가품 논란에 '초강수'…1년 정산금 안 준다
- 3.[단독] '짝퉁 패딩' 또 나왔다…네이버·지그재그·에이블리·W컨셉 등 판매
- 4.삼양 '불닭 천하' 흔들리나…트럼프 '매운맛' 예고
- 5.돌반지 지금 팔까요? 말까요?…금값 최고라는데
- 6.전기차 이러다 방전될라...차값 깎아주다 결국은
- 7.'17억 갑자기 생겼다'…50% 성과급에 로또까지 누구일까?
- 8.당첨되면 최소 3억 번다…세종에 57만명 몰렸다
- 9.1만원대 5G 20기가 요금제 곧 나온다
- 10.연휴 때 먹은 삼겹살·김치, 원산지 조사하니 '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