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세 전면 무상보육' 7개월만에 폐기…어떻게 바뀌나

<앵커>
정부가 0~2세 아동에 대한 무상보육 정책을 사실상 철회했습니다.
대선을 앞둔 정치권과 시민단체는 즉각 반발하고 나섰습니다만 정부도 할말이 많은 분위기 입니다.
이상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3월 정부는 0세부터 만 2세 영아를 대상으로 보육료를 전액 지원하는 무상보육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이후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아는 지난해 65만1천명에서 올해 78만6천명으로 21% 늘었습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 다녀야만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어 앞다퉈 어린이집에 보낸 겁니다.
[이선아 / 2세 영아 어머니 : 제 애기는 만 2세예요. 뱃속에 있을 때부터 (신청)했는데, 아직도 연락 오는 데는 한군데도 없어요.]
정부가 영아들을 위해 지원할 보육료는 올 한해만 4조4천억원.
예상보다 지원대상이 크게 늘어 6639억원이 모자란 상태입니다.
[서문희 / 육아정책연구소 기획조정실장 : 어린이집에 보내지 않으면 아무 지원도 받을 수 없다는 게 하나의 문제입니다. 일을 하지 않아서 집에서 아이를 기르고 싶어 하는 엄마들에게는 아이를 기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예산 문제로 무상 보육이 오는 11월부터 중단될 위기에 처하자 정부는 사실상 무상보육 정책을 철회했습니다.
0~2세 영유아를 둔 소득 하위 70% 가구에만 양육보조금을 지원하기로 한 겁니다.
이들은 보육시설 이용 여부에 관계없이 자녀의 연령에 따라 매월 10만∼20만원의 양육보조금을 현금으로 지원받게 됩니다.
반면 소득 상위 30%에 해당하는 가구는 보육비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조남권 /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관 : 고소득층에 대한 지원을 줄여서라도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을 보강해야 합니다. 고소득층에 대한 서비스 접근성은 정부가 책임질 일은 아니라고 봅니다.]
보육시설 이용 시간도 차별화했습니다.
맞벌이인 가정에는 12시간을 이용하는 종일제 바우처를, 전업주부 등 상대적으로 시설 보육 수요가 적은 가정에는 6시간의 반일제 바우처를 지급하게 됩니다.
외벌이 가정보다 보육시설이 더 필요한 맞벌이 가정에 더 많은 혜택을 주기 위해섭니다.
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의 개편안을 국회의 예산안 심의를 거쳐 내년 3월부터 시행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여당과 야당이 반대하고 있는 데다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도 반발하고 있어 국회 통과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됩니다.
SBS CNBC 이상미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불길 코앞인데, 골프 후반전 나가라"…라운딩 강행 골프장 논란
- 2.[단독] 하나카드, 연체 발생 시 '체크카드' 결제도 막는다
- 3.알리·테무·쉬인 '싸다고 청바지 사줬는데, 애 잡겠네'
- 4.선거법 2심 이재명 '무죄'
- 5.'50대 이상 싱글 남성이 위험하다'…개인파산 가장 많아
- 6.19만원서 1만원된 금양…상폐 위기 '빨간불'
- 7.복권 1200억짜리 당첨됐는데, 한 푼도 못 받는다?
- 8.금양 주주들 곡소리…상폐 위기 속출
- 9.'사상 최악의 산불' 지리산 덮쳤다, 하회 마을 코앞
- 10.[단독] 근로장려금 대수술 시동…'돈'보다 '일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