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초콜릿 복근 만들다 '탈장' 부른다

SBS Biz
입력2011.04.29 14:26
수정2011.04.29 19:59

<앵커>
배 속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장이 복막 밖으로 튀어나오는 탈장이라는 질환이 있습니다. 처음엔 별다른 통증이 없지만 탈장된 장이 꼬이면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데요. 최근 성인남성 환자들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기자>
따뜻해진 봄 날씨에 새롭게 운동계획 세운 남성들이 많습니다.
 
[한신웅 (33세) : "겨울이 지나니까 곰처럼 살이 쪄가지고요 올해는 등산을 다녀서 유산소 운동을 좀 하고.."]
 
[박성식 (29세) : "여름을 위해서 복근운동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한 운동이나 야외활동은 탈장을 부를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가끔 사타구니 부분이 불룩하게 나와 이상하게 생각했다는 20대 남성입니다. 그런데 몇 달 전, 신병교육대에 입소해 훈련을 받던 중 전에 없던 심한 통증이 찾아왔습니다.
 
[김모씨 (23세) : "되게 아파요. 속이 메스껍다 보니까 토도 하고 되게 아팠는데 앉아있다 보니까 다시 (불룩 나왔던 게) 들어가더라고요. 들어가면 통증이 없어지니까 남은 훈련도 하고 그랬던 거죠."]
 
공익근무요원으로 배치를 받고 검진을 받았는데요. 왼쪽과 달리 오른쪽 사타구니 부분이 불룩하게 보입니다. 탈장으로 수술이 급한 상황입니다.
 
[김모씨 (23세) : "훈련 받았던게 악화 요인이었어요. 평소엔 막 그렇게 포복을 하거나 무리할 일은 없으니까요. 평소엔 괜찮은데 훈련받을 때 조금 무리했던 것 같아요."]
 
탈장은 배 안의 압력이 올라가거나 복부 내장을 싸고 있는 근육인 복벽이 약해지면서 장이 복벽을 뚫고 나오는 질환인데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조사에 따르면 탈장수술은 2007년 3만 4천 건으로 9년 새 2배나 늘었고 이중 80%가 남성 환자입니다.
 
[임정택 / 소화기외과 전문의 : "심하게 웨이트 트레이닝을 한다든가 아니면 운동선수들 같은 경우에는 복근 운동을 많이 해서 복압이 올라가는 상황이 많기 때문에 탈장이 잘 생깁니다. 그리고 흡연하시는 경우 흡연 자체가 조직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탈장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탈장이 생기면 사타구니나 옆구리 등에 달걀만한 크기의 불룩한 덩어리가 만져지는데, 눕거나 손으로 누르면 들어가고 별다른 통증도 없습니다. 문제는, 빠져나온 장이 복벽 사이에 끼어 피가 통하지 않다가 썩어버릴 수 있다는 점인데요. 탈장은 자연치유나 약물치료가 되지 않기 때문에 빨리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최근에는 합성섬유로 만든 인조그물로 복벽의 구멍을 막는 복강경 수술이 좋은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임정택 / 소화기외과 전문의 : "상처부위가 적기 때문에 상처로 인한 통증이 적고 인조막이라는 구조물이 처음에는 아무 힘도 못 받고 그런 구조물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아주 딱딱해져서 탈장 구멍을 견고하게 막아줌으로 해서 치료가 잘 이뤄지고 있습니다."]
 
복강경을 통해 배 안쪽을 관찰하자 복벽 밖으로 나온 장이 보이는데요. 장을 다시 제자리로 넣고 이곳을 인조 그물로 막아 재발하지 못하도록 튼튼하게 보강합니다. 탈장된 구멍을 직접 꿰매는 수술은 재발률이 20~30%나 되지만 인조그물 수술은 1~5%밖에 안 됩니다. 최근 몇 달간 근육을 만들고 체중감량을 하기 위해 운동을 열심히 했다는 30대 남성입니다.

[엄모씨 (31세) : "역기, 바벨 같은거 무겁게 많이 들고 할라고 했는데 어느 순간 거울 보니까 사타구니 옆쪽으로 밑에 쪽으로 뭐가 불룩 튀어나왔더라구요."]
 
검사결과 탈장으로 진단돼 복강경 인조그물 수술을 받았는데요. 통증도 없고 수술 후 이틀 만에 퇴원했습니다.
 
[ 엄모씨 (31세) : " 직장생활 하면서 사실 부담스러운 부분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는데 막상 하고 나니까 통증 같은것도 크게 없었구요. 아무래도 복강경 수술로 하다보니까 흉터가 없다보니까 그 부분에서 제일 만족하고 있습니다."]
 
탈장을 예방하려면 갑자기 복압이 올라가는 무리한 복근 운동이나 무거운 짐을 드는 일은 피해야 합니다. 특히 담배는 복부 근육을 약하게 만들기 때문에 반드시 담배는 끊어야 합니다.
 
 
(www.SBSCNBC.co.kr)
(보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 시청을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