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성장엔진 식었나?…내년 성장률 세계평균에도 못미쳐
SBS Biz 박현아 기자
입력2011.04.18 12:06
수정2011.04.18 13:51
<앵커>
국제통화기금 IMF가 앞으로 5년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4% 초반으로 내려잡으면서 사실상 저성장 시대가 올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 국가가 후진국에서 개발도상국을 거쳐 선진국 문턱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경제성장률이 하락하는 것은 일종의 통과의례라고 볼 수는 있지만 다른 국가에 비해 우리나라의 저성장 기조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박현아 기자입니다.
<기자>
국제통화기금, IMF는 우리나라의 성장률을 내년 4.2%에서 2014년 4.0%, 2016년 4.1%로 전망했습니다.
전세계 평균 보다 많게는 0.7%포인트나 낮은 성장률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2002년 7%를 기록한 것을 마지막으로 이후 6년 동안은 세계 평균 경제성장률과 비슷한 모습을 보여왔습니다.
하지만 IMF는 내년부터는 세계 평균 경제성장률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한때 '아시아의 네 마리 용'중에서 가장 높은 경제성장률을 나타냈던 우리나라가 홍콩이나 싱가포르, 대만에 비해 성장률이 처지는 가장 큰 이유는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서비스 산업이 약하기 때문.
정부가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지 못한 점도 고성장시대의 막을 내리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저출산 고령화 현상도 심각합니다.
앞으로 저출산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 복지 분야에 써야 할 재정지출은 늘어나지만 성장은 제자리 걸음을 하게 돼 재정적자 비율이 급증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경제 규모가 커질수록 성장률이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우리나라는 다른 선진국보다 성장률 하락 속도가 빠르다는 점이 문제.
[임희정 / 현대경제연구원 박사:"정부의 대책은 IT분야, 신재생 에너지 등과 같은 새로운 신성장 동력이 필요하고, 또한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미리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경제가 사실상 장기 저성장 시대에 들어서고 있는만큼 정부가 서둘러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SBS CNBC 박현아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금값 끝없이 오르는데…쳐다도 안보는 한국은행, 왜?
- 2.[단독] 네이버, 가품 논란에 '초강수'…1년 정산금 안 준다
- 3.[단독] '짝퉁 패딩' 또 나왔다…네이버·지그재그·에이블리·W컨셉 등 판매
- 4.삼양 '불닭 천하' 흔들리나…트럼프 '매운맛' 예고
- 5.돌반지 지금 팔까요? 말까요?…금값 최고라는데
- 6.전기차 이러다 방전될라...차값 깎아주다 결국은
- 7.당첨되면 최소 3억 번다…세종에 57만명 몰렸다
- 8.'17억 갑자기 생겼다'…50% 성과급에 로또까지 누구일까?
- 9.1만원대 5G 20기가 요금제 곧 나온다
- 10.연휴 때 먹은 삼겹살·김치, 원산지 조사하니 '헉'